새누리당이 박근혜 정부의 첫 인사가 검증부실 등으로 ‘도미노 낙마’사태를 빚은데 대해 청와대 인사시스템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병수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가 ‘청와대 문책론’을 공개 거론한데 이어 일부 의원들도 26일 박 대통령의 인사방식을 놓고 하향식에서 상향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남경필(수원병) 의원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검증팀 무능이냐, 참모들의 문제냐를 떠나 일단 대통령이 인사하는 방식을 바꿔주는 것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남 의원은 “대통령이 직접 인사를 하고 그것을 위에서 내려주는 방식이라면 검증팀의 무능은 둘째 문제가 될 것”이라며 “위에서 내리는 시스템이라면 인사위원회와 국무총리의 인사권이 제대로 작동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른바 ‘나홀로 인선’이 아니라 주변의 동의를 얻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용태 의원도 KBS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단수후보 내정 후 검증에 돌입하는 톱다운 방식과 인사검증팀의 눈높이가 국민과 언론의 눈높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단수로 후보를 내정하면 후보자의 흠결이 보이더라도 인사권자에게 내정 취소를 건의하기 어렵다”면서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인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작업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철우 의원도 평화방송 라디오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조차 확인이 안됐다면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며 “누군가 국민 앞에서 속시원하게 책임지는 모습이 필요하지만 제도가 더 문제”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의 ‘공동 책임론’을 들어 쓴소리를 요구하는 지적도 잇따랐다.
남 의원은 “대통령과 정부를 성공시키기 위한 당의 리더십이 어떤 것인가를 놓고 논쟁이 좀 있어야 한다”며 “건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며 협조와 견제를 병행하는 당내 리더십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청와대가 더 이상 인사실패를 하지 않도록 당은 비판할 것은 비판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서는 등 운영개선을 요구하고 나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