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27일 4·24 재보선 공천을 사실상 확정,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했다.
대진표가 확정되면서 서울 노원병의 경우 새누리당 허준영 전 경찰청장, 진보정의당 김지선 후보, 무소속 안철수 전 서울대교수가 맞붙게 됐다. 민주통합당은 공천을 포기했다.
부산 영도는 새누리당의 김무성 전 원내대표, 전략공천된 민주통합당 김비오 지역위원장, 통합진보당 민병렬 전 최고위원을 각각 공천했다.
충남 부여·청양은 새누리당의 이완구 전 충남도지사와 맞설 후보가 아직 뚜렷치 않다. 민주당은 1차 공천심사에서 결정하지 못하고 재공모에 들어갔다.
이번 재보선은 박근혜 정부 들어 치러지는 첫 선거라는 점에서 정권 초반 평가의 의미를 갖고 있어 여야 간 정치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특히 정부 출범 초반에 불거진 ‘불통·코드 인사’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야권의 ‘정권견제’ 논리가 어느 정도 바람을 일으킬지 관심사다.
새누리당은 이번 재보선에서 ‘지역일꾼론’을 전면에 내세우고 선거전을 이끌어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새 정부의 정부조직개편 지연, 인사난맥상을 소재로 한 야당의 대대적 공세가 예상되지만 지역 현안을 챙길수 있는 ‘일꾼’이 절실하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민주당은 장차관급 인사들의 줄사퇴로 드러난 인사난맥상을 비롯해 박근혜 대통령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야당에 힘이 실려야 한다는 ‘정권 경종론’을 부각시키고 있다.
민주당은 부산 영도와 충남 부여·청양에 선대위를 각각 만들고 127명 소속 의원을 절반씩 나눠 투입해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의원들의 후원금도 모아 두 선대위에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영도의 경우 인근의 사상에 지역구를 둔 문재인 전 대선후보가 선거운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번 재보선이 3곳에 불과한 데다 지역적 성향 등으로 인해 지난해 4·11 총선과 유사한 결과가 나오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적지 않다.
지난해 총선에서 서울 노원병은 진보정의당이, 부산 영도와 충남 부여·청양에서는 새누리당이 각각 승리를 거둔 바 있다.
초반 판세를 보면 서울 노원병은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 부산영도와 충남 부여·청양은 새누리당의 승리가 유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