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4·24 재보선의 기초단체장·기초의회의원에 대한 당 공천심사위원회의 거듭된 ‘무공천’ 강행 방침에도 불구, 최고위원회의 벽에 부닥쳐 또다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 때문에 한 달여도 남지 않은 재보선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의 정체쇄신 대선공약이 물 건너가는게 아니냐는 비판이 점증하면서 현실정치를 이유로 어물쩍 넘기려 하고 있다는 당내외 비판도 점증하고 있다.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28일 최고위회의 브리핑에서 “무공천 여부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벌어졌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면서 “정당의 무공천이 법제화하지 않은 상황과 공심위가 무공천 방침을 결정할 권한이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황우여 대표는 “이번에는 무공천을 원칙으로 하되, 공천을 원하는 지역은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지 않았으니 받아줄 수도 있지 않느냐”는 취지로 무공천 재의결을 시도했지만 반대의견도 많아 결론짓지 못했다.
이에 앞서 심재철(안양 동안을)·유기준 최고위원 등은 민주통합당이 그대로 공천하는데 새누리당만 공천을 하지 않을 경우 ‘자살 행위’로 선거 패배가 우려된다며 이의를 제기하는 등 무공천 반대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같은 당내 반대 기류속에 지난 25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논의를 거쳐 방침을 정하려 했지만, 일부 최고위원들이 불참하면서 의결정족수 미달로 아예 논의조차 하지 못했었다.
민주통합당은 현행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이번 재보선의 경우 종전대로 당 공천을 그대로 시행할 방침이다.
이로 인해 당초의 무공천 방침을 사실상 철회, 최고위 결론을 내지 못하면서 어물적 넘기려는게 아니냐는 당내 비판이 더해지고 있다.
사실상 양당이 정치쇄신으로 앞다퉈 정당공천 폐지를 내걸었으면서도 여전히 기득권 유지에 급급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인데다 당 공심위도 ‘무공천’ 입장을 거듭 밝힌 가운데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와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등이 잇따라 지방분권 촉진과 함께 정당공천 폐지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반발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날 열린 최고위에서는 서울 노원병에 허준영 전 경찰청장, 부산 영도에 김무성 전 원내대표, 충남 부여·청양에 이완구 전 충남도지사를 후보로 하는 공천안을 확정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