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지난달 30일 과천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새 정부 첫 고위 당정청 워크숍에서 ‘창조경제론’ 및 장·차관의 잇따른 낙마 등 인사난맥상과 관련해 청와대 참모진들을 향한 쓴소리가 봇물처럼 분출됐다.
특히 워크숍 첫 발제자로 나선 유민봉 국정기획수석이 창조경제론을 중심으로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보고하자 계파를 떠나 “도대체 창조경제가 무슨 말이냐.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겠다”, “누가 어떤 산업을 어떻게 일으킬 것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지 우리도 국민을 설득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한구 원내대표는 청와대 측이 창조경제론을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자 아예 “제대로 준비가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당장 서류로 준비해서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당정청은 앞으로 상호 소통 및 협력 강화를 위해 ‘당정청 정책협의회’를 구성하고 ‘고위 당정청 워크숍’을 정례적으로 개최키로 했다고 나성린 당 정책위의장 대행과 김동연 국무총리실 국무조정실장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아울러 대야 소통노력도 강화하기로 하고 내주부터 여야 지도부급 ‘6인 협의체’를 본격 가동키로 의견을 모았다. 6인 협의체에는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이 참여한다.
6인 회의에서는 공정거래 확립(공정거래법 및 하도급법) 등 경제민주화 관련 입법, ‘새 정치’ 차원에서 논의됐던 국회쇄신 법안,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부동산 활성화 방안 등이 주로 논의될 전망이다.
국회쇄신 차원에선 국회의원 세비를 30% 삭감하는 ‘국회의원 수당법 개정안’과 의원연금을 원칙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의 ‘대한민국헌정회 육성법 개정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당정청은 이어 18대 대선 공약의 입법화와 원활한 통과를 위해 유기적으로 협조키로 했다.
당정청은 최근 경기둔화가 장기화하면서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공통된 인식을 토대로 경제살리기를 최우선 정책으로 추진하고 향후 경제정책의 주안점을 경기 회복과 일자리창출, 민생안정에 두기로 했다. ‘일자리 로드맵’도 마련키로 했다.
당정청은 또 현재의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맞춤형 복지 강화, 경제적 약자 보호, 정책금융 활성화 등을 중점 추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