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내 거주하는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교통 편의 제공을 위해 시행 중인 경기도 우대용 교통카드사업이 비수도권 지역에서 사용이 불가능해 사용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특히 사업을 추진한 도는 계속되는 불편 호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달 3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09년 2월부터 도민의 교통 편의 제공을 위해 도내 거주 만 65세 이상노인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경기도 우대용 교통카드(이하 G-Pass)’를 발급, 서울과 경기·인천·강원 등 수도권 지역에서 운행 중인 지하철 무료이용과 환승할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도가 G-Pass 사업의 위탁을 맡긴 농협을 통해 카드를 발급받은 노인과 장애인은 총 108만여명으로 하루 평균 이용객만 23만명에 달한다.
하지만 교통 편의 제공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G-Pass를 발급받아 사용 중인 이용객들은 수도권을 제외한 부산, 대전, 대구, 광주 등 비수도권 지역에선 사용이 전혀 불가능해 영문도 모른채 현금이나 다른 카드를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사용자들의 경우 국선전철의 충남·천안 연장 운행 정착 등으로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지만 도는 G-Pass 사업과 관련한 자료 등은 물론 사용 불가 지역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상태다.
이모(30)씨는 “장애인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로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지원해 준다고 G-Pass를 발급 받았지만 지역마다 사용이 불가능한 곳도 있었다”며 “서비스를 하루빨리 통합하거나 개선해 나같은 장애인이나 노인 등 소외계층이 언제 어디서든 이용이 가능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G-Pass의 전국적인 시스템 호환을 위해서는 각 지자체 운송기관의 협조와 추가 비용 발생 등의 어려움이 있다”며 “전국 시스템 호환을 계획중으로 이용자들의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