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화재참사 등의 우려가 높은 유증기 회수설비가 일부 저유소에만 설치·운영되는가 하면 지도·점검조차 이뤄지지 않아 불안과 비난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본보 6월 17·18일자 1·22면 보도) 국민들의 이용이 큰 셀프주유소들 역시 비슷한 실정인 것으로 드러나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더욱이 셀프주유소 이용자들 대부분이 유증기에 대한 안전상식조차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채 이용에만 나서면서 자칫 대형사고에 대한 우려마저 일고 있다.
18일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 및 대기환경규제지역 내 주유소에만 유증기 회수설비 부착 및 관리를 통해 대기질 개선은 물론 이용객들의 건강 보호를 위한 유증기 회수 설비 사업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관련법상 저유소와 마찬가지로 비규제지역 내 셀프주유소 역시 유증기 회수설비가 설치되지 않은채 운영되면서 이용자들은 도심속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유증기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유증기 회수 설비가 미설치된 셀프주유소는 화재 위험에 항상 노출돼 안전관리자 상시 배치가 중요하지만 대부분 운전자들이 직접 이용하는 상황”이라며 “유증기의 특성상 관련법을 떠나 모든 셀프주유소에 유증기 회수설비 의무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셀프주유소의 경우 일반인들이 주로 이용해 위험성이 더욱 커 비의무지역의 셀프주유소들은 간담회 및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저유소와 같이 셀프주유소 또한 관련법상 비규제지역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한편 전국에 위치한 셀프주유소는 지난 2011년 637곳에서 지난해 1천68곳, 2013년 3월까지 1천137곳으로 두배 이상 폭발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