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포천시의 한 마을 주민들이 채소 재배 시설하우스 운영을 위해 거름으로 뿌려진 계분(닭의 똥)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피해를 호소하는 등 말썽을 빚고 있는 가운데(본보 7월 17일자 22면 보도) 관할기관이 근본 해결책 마련은 커녕 ‘뒷짐행정’으로 일관하면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21일 포천시와 유동 2리 마을주민 등에 따르면 유동 2리 마을주민들은 이달 초부터 A씨가 채소 재배 시설하우스 운영을 위해 계분을 살포한 후부터 악취와 함께 해당 부지에서 발견된 닭뼈 및 폐사한 닭의 사체에 따른 수질오염 우려도 일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을 주민들은 지난 1일부터 최근까지 수차례에 걸쳐 관할기관에 민원을 제기, 주민대책회까지 열고, 시청 항의 방문 등 악취 등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하지만 마을 주민의 계속되는 문제제기에도 시는 근본적인 대책이나 해결책 마련은 커녕 고작 50만원의 과태료 및 계도 조치만 취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민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현재 A씨가 시와 관련된 각종 직책을 맡아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할기관의 봐주기 의혹마저 일고 있는 상태다.
유동 2리 한 마을 주민은 “수십여명의 마을 주민이 악취로 고통받고, 수질오염에 대한 걱정으로 불안에 떠는데도 시는 원인 파악이나 해결책 마련 등은 커녕 문제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오죽하면 외압을 넣었다는 얘기와 특혜 의혹까지 여기저기서 나오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A씨는 “마을 주민들에게 피해를 준 것에 대해 누누이 미안하다고 전했다”며 “직함이 문제가 아니라 농업을 하게 되면 누구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천시 관계자는 “이달 초부터 현장 점검을 했지만 특별히 문제가 확인되지 않아 버려진 닭뼈 등에 대한 행정조치만 취했다”며 “A씨가 포천시 시설채소 연합회·연구회장이라는 사실은 민원이 발생한 후 알게 됐고, 봐주기나 특혜 논란 등은 말도 안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