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 5월 본격적인 피서철을 앞두고 도내 물놀이시설(유원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실태점검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시설에서 안전관리 등의 미흡으로 수십건에 달하는 행정 조치가 내려졌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말썽을 빚고 있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난 5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도내 등록된 물놀이시설(유원시설) 총 12곳에 대해 해당 지자체와 함께 유기기구 안전성 검사 및 유원시설업자 준수사항 이행여부, 유원시설업의 시설 및 설비기준 적합여부 등의 물놀이형 유원시설 안전관리 실태점검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1차로 선정된 부천과 용인, 이천, 남양주, 파주 등에 위치한 물놀이시설은 현지시정 37건, 개선명령 28건으로 총 65건에 달하는 행정 조치를, 2차 지역인 고양, 이천, 포천, 화성은 총 32건에 현지시정 및 개선명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혹시 모를 이용객의 안전사고에 대비해도 모자랄 상황에 대부분의 물놀이시설이 안전운행 표준지침 및 자체안전관리계획 수립 등의 미흡으로 수십여건에 달하는 행정조치를 받은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비난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박모(29·화성시)씨는 “이번 휴가기간 동안 수원, 화성, 용인 등에 있는 물놀이시설을 가족과 함께 다녀왔는데 대부분의 시설이 노후되거나 보여주기식 안전관리여서 물놀이 내내 불안했다”고 말했다.
김모(31·용인시)씨도 “대규모 물놀이시설을 제외하곤 한철 장사를 하고 이용객들의 안전을 신경쓰기보다 수익창출을 위해 홍보 등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 같다”며 “물놀이시설 이용때마다 해당시설이 수질검사나 받는지 안전이나 위생기준은 준수하는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매년 5~6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관리 실태점검을 실시하는데 올해는 사업정지나 영업취소 등의 부적합 시설은 없었다”며 “대부분 현지시정 및 개선명령 등을 받아 현재 특정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는 개선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