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방경찰청이 도내 운영 중인 치안센터 대부분이 근무 인력 부족 등으로 사실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초 치안센터 설립 취지와 다르게 도심속 애물단지로 전락하면서 주민들의 불편은 물론 불만만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3일 경기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기지방경찰청은 지난 2003년 10월부터 부족한 경력의 효율적인 운용과 순찰중심의 경력 배치를 위해 일선 파출소들을 구역별로 통합, 광역 지구대로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2~4개의 파출소가 1개 지구대로 통합되면서 기존 파출소 건물을 지역 주민들의 각종 민원상담 및 범죄신고 접수를 위한 치안센터로 활용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현재 도내 41개 경찰서에서 운영 중인 치안센터 52개 중 경찰 인력이 상시 배치돼 근무하는 곳은 고작 8개,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근무자가 배치되는 주간근무 형태는 30개로 나머지 14개는 근무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아예 운영조차 못하면서 도심속 애물단지로 전락한 실정이다.
더욱이 주간근무 형태로 운영되는 치안센터마저도 근무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사실상 근무자 배치에 어려움을 겪으며 텅빈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가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단 지적이다.
시민 이모(60)씨는 “출입문에는 각종 민원상담 및 범죄신고 접수를 받는다고 안내문까지 붙여 놓고, 텅빈 상태로 방치하고 있는지 이해가 안된다”며 “벌써 몇년째 이곳을 지날 때마다 출입문이 잠겨있는데 과연 실효성 있는 최선의 방법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시민 박모(30)씨도 “말로만 치안센터지 도심속 곳곳에 활용도 못하는 건물을 수년째 방치하면 흉물이나 마찬가지 아니냐”며 “차라리 경찰관들의 복지관으로 사용하는게 더 낫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경찰청 관계자는 “인력이 부족해 일부 치안센터에 근무 인력을 배치하지 못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폐쇄한다면 지역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할 것”이라며 “가장 큰 문제인 인력 충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