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째 임업 종사자의 재해 및 사망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관할당국의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현재 체계적으로 각종 교육이 실시되는 제조·건설·서비스업과 달리 임업의 경우 근로자수 등 산업 중에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는 이유로 그동안 교육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채 외면받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단 지적이다.
7일 안전보건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임업 관련 재해·사망자 현황 확인 결과, 2010년 재해자수는 2천164명(경기지역 123명)으로 사망자만 27명에 달했다.
또 2011년에도 1천984명(경기지역 103명) 사망자 19명, 2012년 전체 1천816명(경기지역 88명) 사망자 21명으로 임업분야 산업재해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년 임업 종사자의 산업재해는 물론 사망사고까지 발생하고 있지만 임업과 관련해 체계적인 안전교육조차 실시하지 않고 있던 것으로 드러나 비난이 일고 있다.
더욱이 산업재해 발생 억제를 위한 안전사고 예방 교육이 진행되야 하지만 그간 특별교육 요청에 의존하거나 인력부족 등의 이유로 사실상 임업 관련 재해예방에 손을 놓고 있던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커지고 있다.
임업 종사자 서모(52)씨는 “임업 사업장의 특수성으로 재해발생율이 높을 수 밖에 없다”며 “대다수 재해가 부주의 등 안전사고인 것으로 나타나는 만큼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교육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A산림조합 관계자는 “임업과 관련한 사망사고 등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지만 이같은 문제의 해결책 마련은 커녕 의무적으로 보여주기식의 안전사고 예방 교육만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앞으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선 임업 또한 건설업이나 제조업처럼 각종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전보건공단 관계자는 “임업 관련 재해가 꾸준히 발생하는 것은 알지만 제조업이나 건설·서비스업 같이 사업자 교육 및 평가 담당자 교육 등을 실시하지는 않는다”며 “제조업 등과 다르게 비중이 높지 않고, 인력도 부족해 임업만 세분화해 교육을 실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