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6년 7월부터 경기도는 미국(57), 일본(39), 독일(13) 등 세계 17개 국가의 외국인 투자기업들과 1만7천600여건의 투자유치(MOU)를 체결하고, 평택과 화성, 파주 등에 33~66만여㎡ 규모의 외국인 투자 전용단지 8곳을 마련해 지난해 말까지 90여개에 달하는 외국인 투자기업들을 유치, 운영 중이다. 이처럼 경기도와 일선 지자체들이 국내 산업의 기술고도화 달성과 함께 고용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외국인 투자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일각에선 지역 상권 붕괴에 대한 우려 등 곱지 않은 시선도 상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도내 외국기업의 유치 현황 및 실태, 도민들의 우려와 그에 따른 대책과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 주>
다국적기업 한국진출 교두보 된 경기도 明暗
(上) 외국기업 전시장으로 전락한 경기도
(中) 도내 영세상인 죽이는 외국기업 유치 혈안
(下) 외국기업 유치와 상생, 공존 해법과 방안은?
경기도가 수년전부터 외국기업투자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외국기업의 전시장으로 전락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경기도에 따르면 민선 3기 이후 지난해 말까지 경기도 등 도내 지자체가 외국인 투자기업과 투자유치(MOU)를 위해 체결한 투자양해각서는 140여건으로 IT 21개, LCD 17개, 자동차 21개, R&D 13개 등 모두 140개 176억5천500만달러의 외국기업을 유치했다.
이에 따라 현재 외국기업이 자본 및 시설 투자를 통해 도내 운영 중인 외국기업만 무려 3천30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평택과 화성, 용인, 성남, 안산, 파주, 고양 등 상당수 지자체들은 외국기업 유치로 인해 고용창출, 인구증가, 세수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하면서 치열한 외국기업 유치전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당수 지자체들은 지난해까지 본사 및 공장·연구소를 포함한 국내·외 기업을 유치했거나 외국투자 자본을 유치한 민간인에게 200만~5천만원, 공무원에게는 200만~2천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포상금 제도까지 도입·운영하면서 투자 유치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도는 물론 상당수 지자체들이 수년째 외국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다 보니 일각에선 해가 갈수록 도가 외국기업의 전시장으로 전락한 채 오히려 지역 상인들만 고사 위기에 몰아넣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대표적 생활용품 업체인 다이소사의 경기도 상륙이후 전통시장 상권이 붕괴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는가 하면 세계적 가구유통기업 이케아가 경기도를 교두보로 국내 시장 직접 진출에 나서면서 광명, 고양 등의 가구업계는 존폐의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상인 이모(52)씨는 “언젠가부터 도내 외국기업이 하나둘씩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점점 도가 국내 기업이 아닌 다국적 공룡업체들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전시장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 같다”며 “결국 지역 내 외국기업 진출은 기존 중·소 영세 상인들만 죽이는 처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외국기업 유치에 불만을 토로하는 도민들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선 외국기업 유치가 오히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외국기업 투자유치 관련 포상금 제도는 그만큼 외국인 투자기업 유치가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입된 제도였는데 올해부터 재정이 어려워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