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2011년 말부터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 화재현장에 도입한 ‘소방로봇’이 실상 화재현장에서는 제대로 기능을 못하고 있는데다 일부 소방서의 홍보수단으로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산업통산자원부와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1년 12월부터 사업비 32억여원을 들여 화재 발생시 소방관들의 현장 접근이 어렵거나 장시간 진행되는 화재를 위해 무인방수로봇 16대(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등 11개 시도)를 비롯 1천100여만원의 화재정찰로봇 42셋트(강원도 제외한 17개 시도)를 전국 일선 소방서에 보급했다.
이에 따라 현재 경기도내 시흥, 화성, 안산, 부천, 성남, 남양주, 파주 지역에는 대당 1억1천여만원에 달하는 무인방수로봇 3대와 화재정찰로봇 7셋트가 배치돼 있는 상태다. 하지만 도입된지 4년째를 맞고 있는 ‘소방로봇’은 정작 화재현장에 투입된 경우는 몇차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실효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 처럼 현장 투입이 없는 ‘소방로봇’을 일부 소방서에서는 소방서 홍보에 활용, ‘주객전도’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실제 지난 2011년부터 최근까지 ‘소방로봇’이 화재현장에 투입된 횟수는 시흥 8번, 화성 3번, 안산 1번 등에 그쳤으며 ‘화재정찰로봇’은 남양주만 단 2번 투입됐을 뿐, 나머지 소방서에서는 견학생들을 위한 홍보용에만 사용됐다.
일선 소방서 한 관계자는 “고가의 소방로봇이 배치됐지만 기술적인 부분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한계가 있다보니 아직까지 현장에 투입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라며 “화재진압하기에도 바쁜데 부족한 인력으로 소방로봇을 옮기고 조작하는 등 사실상 활용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귀띔했다.
이에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일선 소방서에 배치된 소방로봇의 경우 소방관들이 요구하는 기준에 못미쳐 정작 화재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앞으로 이같은 문제를 개선해 소방로봇이 실질적으로 화재현장에 도움이 되기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