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정부의 CNG버스 대체 권장에도 불구하고 전국 고속도로에 CNG 충전소가 전무, 사업이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있는 가운데(본보 4월9일자 1면 보도) 정작 도내 지자체들은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시내버스 위주의 배정만 하고 있어 관련업계가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9일 경기도와 경기도전세버스운송조합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000년 서울시내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CNG 버스 시범 운행에 들어가 2002년부터 기존 경유버스를 CNG 버스로 교체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했다.
또 지난 2004년 9월부터 시내버스외에 통근·통학을 목적으로 하는 전세버스운송사업자의 경유차량을 CNG 버스로 대체하면 대당 1천850만원(기존 2천250만원)의 보조금(국비 50%, 도·시비 50%)을 지원하는 등 CNG 버스 교체 및 구입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방침에 따라 도내 상당수 자자체들이 매년 많게는 20억원 이상의 천연가스자동차 보조금 예산을 책정, 국비 50%와 도비 25%를 지원받아 CNG 버스를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지자체들은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정해 배정하고 있어 관련업계의 불만을 가중 시키고 있는 것.
실제 수원, 성남, 남양주, 용인 등 도내 27개 지자체의 최근 3년간 CNG 버스 보급 현황은 2011년 814대, 2012년 755대, 2013년 1천157대의 CNG 버스가 보급 됐지만 최근까지 도내 CNG 버스 7천557대 중 시내버스가 6천761대, 마을버스 641대로 시외버스와 전세버스는 고작 70~80대에 불과하다.
전세버스업체 관계자는 “CNG 버스는 경유버스 대비 경제성이 뛰어나 4~5년전부터 지자체에 CNG 버스를 매년 수십대씩 요청하고 있지만 배정은 커녕 오히려 배제시키고 있다”며 “정부는 권장하는데 지자체는 예산 부족을 핑계로 배제시킨다는게 말이나 되냐며 정부 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매년 CNG 버스 확보를 하고 있지만 주요 목적이 대기환경개선이기 때문에 시내버스 위주로 배정하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보조금만 늘어나 예산만 확보된다면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전세버스 등도 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털어놨다.
이에 도 관계자는 “CNG 버스 관련 시군별 예산은 시내위주 운행 버스에 우선 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예산도 문제지만 전세버스나 시외버스의 경우 주로 외곽을 운행하고, CNG 충전소도 부족한 실정이어서 우선 순위에서 배제되는 것 같다”고 밝혔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