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우의 혈통관리가 간편해진다.
농촌진흥청은 한우 인공수정 시 혈통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관리하는 ‘한우 인공수정 기록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그동안 축산농가에서 인공수정을 할 경우, 정액 번호와 암소 귀표번호를 수기로 적은 후 다시 전산입력을 해야 하는 등 기록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농진청이 개발한 ‘한우 인공수정 기록관리 시스템’은 정확한 혈통정보를 조기에 확보해 송아지 출생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혈통오류를 최소화하고, 한우 개량을 위한 유전능력 평가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인공수정을 할 때 현장에서 보증씨수소의 정액 번호와 암소의 개체식별번호를 휴대용 리더기로 인식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간편하게 전송해 인공수정 시 발급되는 가축인공수정증명서를 현장에서 휴대용 프린터로 즉시 발급하는 등 행정업무의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다.
특히 한우 보증씨수소 정액의 판매량 및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알맞은 정액 수급조절이 가능하다.
박수봉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장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한우 인공수정 기록관리 시스템은 정확한 혈통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록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며 “앞으로 현장 적용시범사업을 추진한 후 관계 기관과 협의를 통해 현장에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승표기자 sp4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