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에 도전한 여야 현역 의원들이 본선 후보로 잇따라 확정되면서 경기도를 중심으로 7·30 재·보선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
12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지방선거 공식 후보등록일(15~16일)을 사흘 앞둔 12일 현재 광역단체장 최종 후보로 확정된 여야 의원은 도내 3명을 포함해 전국 총 10명(여당 7곳, 무소속 1명 포함 야당 3곳)이다.
새누리당에서는 남경필(경기), 유정복(인천), 정몽준(서울) 등 7명이 본선 행 티켓을 따냈다. 이들이 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오는 14일까지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현재 새누리당 의석은 156석으로 이미 확정된 7명만으로 과반 의석(300석 기준 시 151석)에 밑돈다.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2명을 제외한 298석을 기준으로 해도 과반의석(150석)에 모자란다. 결국 7월 재보선 결과에 따라 과반 의석 확보 여부가 최종 결정 날 전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김진표(경기), 이낙연(전남) 의원이 최종 후보로 확정돼 조만간 의원직을 사퇴할 예정이다.
6월 지방선거로 인한 선거구 외에도 도내 평택을(새누리 이재영 전 의원)과 수원을(새정치연합 신장용 전 의원)은 이미 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해 재선거가 확정됐다.
현재까지 도내 5곳 등 전국 12곳이 재·보선지역으로 확정됐다.
인천 서구강화을(안덕수·새누리)과 계양을(최원식·새정치연합) 등 3곳의 경우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며, 서울 서대문을 등 4곳은 대법원 선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경기도뿐 아니라 7·30 재·보선 지역이 전국적으로 20곳 가량의 ‘미니총선’ 규모가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거물급 정치인들의 출마 여부가 관심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의 수원 병 출마가 거론돼왔고, 새누리당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임태희 전 의원이 이미 지난 3월 “경기 평택을 출마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정훈기자 hoon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