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로 수백명에 달하는 안타까운 희생자가 발생한 가운데 도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을 경험할 수 있도록 운영되는 안전체험관이 전무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13일 소방방재청과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현재 지진, 태풍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을 경험하도록 시·도가 운영하는 안전체험관(어린이 전용 제외)은 서울 광나루·보라매 안전체험관, 전북 119 안전체험관,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 태백 365 세이프타운 등 전국에 5곳이 운영 중이다.
또 충남 천안의 경우 지상 3층 지하 1층 연면적 5천620㎡ 규모로 17체험시설을 갖춘 안전체험관을 올해말 완공 예정이며, 부산은 오는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지상 4층 지하 1층 연면적 7천㎡ 규모의 22개 체험시설을 갖춘 안전체험관을 조성 중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과 달리 인구 1천250만명을 자랑하는 경기도의 경우 계속적인 재난 체험 수요 증가에도 불구, 예산 등의 문제로 안전체험관 설립이 표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종 재난 대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내 한 소방서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을 사전에 경험, 대비할 수 있도록 안전체험관 신설이 필요하지만 지난 2003년부터 예산 문제 등으로 난항을 겪으며 아직도 계획조차 되지 않고 있다”며 “전국 최대 인구수의 경기도가 도민 안전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안전체험관을 조성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도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안전체험관 건립을 위해 국비(50%)와 도비(50%)를 지원 받아야 하는데 그동안 예산 문제로 난항을 겪으며 추진을 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도민의 안전과 각종 재난을 대비해 안전체험관 조성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경기도내 안전체험관 조성을 추진했지만 국비 지원 협의가 안돼 난관에 부딪혀 아직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며 “경기도뿐만 아니라 각 시·도별로 안전체험관 수요와 접근성 등을 고려, 우선 순위를 정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