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애멸구 한반도 급습 벼 줄무늬 잎마름병 주의보

2014.06.01 21:57:34 9면

채집량 2011년의 9.3배 늘어
道농기원, 철저한 방제 당부

경기도농업기술원은 벼 에이즈라고 불리며 줄무늬잎마름병을 옮기는 ‘애멸구’가 중국에서 많이 날아오고 있어 농가에 피해가 예상된다고 1일 밝혔다.

도농기원은 지난달 27~29일 사이 애멸구가 중국에서 날아오는 양을 측정하는 기구(공중포충망)에서 733마리가 채집되는 등 최근 발생이 많았던 2011년(79마리)보다 9.3배 정도이고, 모내기한 논에서도 20포기당 10~20마리로 5~8배 정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달 상순까지 저기압이 통과되면 더 많은 양이 날아올수도 있어 서둘러 방제를 하지 않으면 6월 중하순쯤에 알에서 깨어난 새끼벌레(약충)가 수십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가 원인이 되는 병으로, 병균(바이러스)을 가지고 있는 애멸구가 볏대의 즙액을 빨아먹을 때 옮기게 되며 증상은 10~15일 후에 나타나게 된다.

경기지역에서는 2001년 김포와 시흥, 화성 등 경기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3천64ha, 2009년 4천674ha, 2011년 661ha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이 병은 일단 감염되면 치료할 수 없는 바이러스병으로, 피해가 심할 경우 수확량이 50% 이상 감소한다.

이에따라 도농기원은 이달 상순까지 공중포충망조사 등을 철저히 하고, 피해 우려지역에서는 모내기한 논을 정밀하게 살펴 방제 필요시 농업인들에게 신속히 알려 철저한 방제가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전승표기자 sp4356@
전승표 기자 sp4356@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