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교수협의회, 노동조합, 총학생회, 총동문회 등이 인천대에 타 국립대 수준의 동등하고 평등한 국가지원 운영비 지급을 촉구하고 나섰다.
6일 인천대 구성원들은 성명을 통해 “2013년 1월 국립 인천대의 전환은 인천에 제대로 된 국립대를 만들자는 인천시민과 대학 구성원의 염원이 이뤄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정부는 국비지원 없고, 총장 직선제 삭제, 이사회 내부인사 참여 축소, 구성원의 의결기구 참여 배제까지 최악의 법인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국립 인천대의 탄생은 재정적 불안정성과 자율성의 심각한 훼손이 우려되는 법인 국립대로의 전환으로 반쪽짜리 국립대에 지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인천대 구성원들은 “당시 지역구 국회의원이었던 교육부장관이 국가에서 재정 지원하는 게 국립대학에 해야 하는 당연한 의무라는 발언을 기억하고 있다”고 했다.
또 “국립전환 직후 인천경영포럼 조찬 강연 중 ‘내년부터는 국비가 지원될 것이며, 규모는 500억원에서 1천억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 한 발언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립대학은 국가가 나라의 인재를 양성하고 고등교육을 책임지기 위해 만든 것이다며, 국비로 운영비 1원 받지 못하는 인천대의 교육은 누가 책임지는 것이냐”고 비난했다.
인천대 구성원들은 “인천지역의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280만 인천시민의 염원을 짓밟지 말고, 타 국립대 수준의 동등하고 평등한 국가 지원 운영비를 지급하길 촉구한다”고 했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