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세권 정비사업 발표
1년 지난 뒤에야 첫 설명회
성매매업소 토지주 거의 불참
철거 아닌 개발계획 설문조사
“본질 왜곡” 주민들 반발
수원시가 지난해 9월 수원역 인근 집창촌(성매매집결지) 철거를 위해 ‘수원역세권 성매매집결지 정비사업 타당성 조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면서 사업을 본격화 했지만 1년여가 지난 최근에서야 해당지역 토지주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여는 등 늑장행정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더욱이 이날 열린 설명회가 시가 정한 개발방향을 토지주들에게 전달하는 형식에 그치면서 주민들이 반발하는 등 탁상행정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9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8일 고등동주민센터 대회의실에서 성매매집결지 인근 토지주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당지역 정비사업 설명회와 함께 개발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러나 시는 사업 발표 이후 1년이 지난 뒤에서야 공식적으로 첫 설명회를 연데다 전체 토지 중 60% 이상이 1인 다필지 소유자로서 사실상 기업형으로 확장된 성매매업소의 토지주는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수박 겉핥기식 설명회라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결국 시는 이날 설명회를 열면서 고등·매산동 등 성매매업소가 위치한 곳의 인근 지역 토지주들만 불러 모아 개최에만 의의를 둔 설명회를 열면서 ‘성매매업소 철거’라는 본질은 무시되고 개발계획에만 초점을 맞춰 주민반발을 자초한 꼴이 됐다.
실제 이날 설명회에서 정비사업 타당성 용역을 시행하는 회사가 토지주들을 대상으로 개발계획과 관련한 설문지를 뿌리면서 성매매업소 철거를 바라는 주민들 사이에서 본질이 왜곡된게 아니냐며 고성이 터져 나오는 등 일방적인 행정에 대한 반발이 커지는 실정이다.
토지주 남모씨는 “시는 이미 이곳을 어떻게 개발할지를 궁리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곳을 정비하는 첫번째 조건은 성매매업소를 내보내는 것”이라며 “성매매업소가 사라진 뒤에 어떻게 개발할지를 의논해도 되는데 왜 첫만남에서부터 본질은 제쳐두고 개발계획만 들고나오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수십년간 고통을 참고 살아온 주민들의 마음을 이해한다”며 “시가 이곳을 개발하려는 방향을 이미 정한 것은 절대 아니며 어떤 방식으로 개발을 하는 것이 좋을지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자 자리를 만든 것이며 성매매업소 철거와 관련된 업무도 추진중인 상태”라고 밝혔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