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발생 2년 만에 피해가 가장 컸던 안산지역 추모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할 민·관 협의기구인 ‘4·16세월호 참사 안산시 추모사업 협의회’가 발족했다.
안산시는 6일 시청 회의실에서 4·16가족협의회 대표, 시장, 국무조정실 추모사업지원과장 등 24명을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하고 협의회 발족 첫 회의를 열었다.
협의회는 ‘4·16 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추모공원 조성, 추모기념관 건립, 추모비 건립 등 안산지역 추모시설에 관한 피해가족과 지역주민 등 이해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해 시민적 합의안을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지난해 9월부터 민·관 협의 기구 필요성이 논의됐으나 위원 구성원을 놓고 이해 당사자 간 입장차로 늦어지다 10개월 만에 발족했다.
위원은 시장, 가족협의회 대표, 시 담당 국장 등 당연직 3명과 관계 중앙부처 공무원 1명, 시의원 2명, 피해극복대책협의회 5명, 가족대표 4명, 주민대표 3명, 사회단체 임원 3명, 전문가 3명 등 위촉직 21명으로 구성했다.
협의회 위원장은 제종길 안산시장이, 부위원장은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대표가 맡았다.
협의회는 앞으로 안산지역에 들어설 추모시설 입지, 내용, 규모, 설계, 사업비 등 추모사업 관련한 전반적인 사항을 논의한다. 시민적 합의안이 도출되면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사업을 진행 중인 국무조정실에 전달할 계획이다.
전달된 안산지역 합의안은 국무조정실이 지난달 착수한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 기본용역에 참고 자료로 쓰이고, 용역 결과는 내년 3월 나올 예정이다.
협의회는 월 1회 회의를 열고 사안에 따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안산=김준호·김장선기자 j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