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기준시가 전년비 7.5% 상승

2019.01.01 18:57:15 10면

지난해 상승률 2배 이상 확대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도 껑충

올해부터 적용되는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의 기준시가가 전년보다 7.5% 올랐다. 상승률이 전년보다 두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면적당 기준시가가 가장 비싼 오피스텔은 롯데월드타워앤드롯데월드몰 월드타워동으로 1㎡당 914만원이었다.

국세청은 1월 1일부터 적용하는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를 정기 고시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고시 대상은 경기·인천·서울 등 수도권과 5대 광역시, 세종시 등에 있고 동·호별로 구분해서 소유권이전 등기가 가능한 오피스텔과 상업·복합용 건물 121만5천915호다. 고시 대상 호수는 전년보다 8.9% 늘었다.

기준시가는 양도소득세와 상속·증여세 과세 과정에서 필요한 시가를 확인할 수 없을 때 주로 활용된다.

취득·재산세 등 지방세는 행정안전부의 시가 표준액이 적용되기 때문에 국세청 고시 기준시가와 관련이 없다.

오피스텔 기준시가는 전년보다 평균 7.52% 상승했다. 지난해 상승률(3.69%)의 두배가 넘는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9.36%), 경기(9.25%) 등에서 상승률이 높았고 부산(1.26%), 울산(-0.21%) 등은 평균을 밑돌았다.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상승률은 지난해(2.87%)의 두배가 훌쩍 넘는 7.56%였다. 서울(8.51%), 대구(8.40%) 등에서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단위 면적(㎡) 당 기준시가가 가장 비싼 오피스텔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앤드롯데월드몰 월드타워동으로 914만원에 달했다.

‘비선 실세’ 최순실 씨가 살던 서울 강남구 피엔폴루스는 632만원으로 두 번째로 비쌌고 서울 강남구 청담에디션(619만원)이 뒤를 이었다.

상업용 건물 1위는 서울 서초구 반포본동상가 3블럭(2천144만원)이었고,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2천89만원) 등 순이었다.

복합용 건물은 서울 중구 디오트가 1천72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서울 서초구 서초현대타워아파트(839만원), 성남시 디테라스(794만원) 등도 3위 안에 들었다.

고시된 기준시가는 이날부터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 열람할 수 있다. 기준시가에 이의가 있는 소유자 등은 기준시가 재산정을 신청할 수도 있다.

개별 고시되지 않은 일반건물의 기준시가 산정방법도 이날 함께 고시됐다.

/이주철기자 jc38@
이주철 기자 jc38@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