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택조합 내부 갈등 등으로 20여년 째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용인 역삼지구 도시개발사업이 기지개를 켤 전망이다.
용인 역삼지구 도시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인 ‘한투-미래에셋 컨소시엄’은 4일 “조합 측이 대의원 회의를 열어 의견을 모으면 즉시 투자계약을 추진할 것”이라며 “투자협약 이후 곧바로 지장물보상대금(980여억원)과 세금(300여억원), 설계미납금 및 공사미납금, 금전청산대금 등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4월 역삼지구 사업자선정 공모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투-미래에셋 컨소시엄’의 참여사인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증권, 한화건설, ㈜미문디앤씨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총사업비 7천8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으며, 1군 건설사의 기반시설 책임준공과 현금 4천500억원 일괄 투자를 약속했다.
용인시청 앞 최고의 노른자위에 위치한 역삼지구는 지난 2017년 8월 실시계획승인을 받은 곳으로, 69만2천140㎡ 전체가 상업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전 시·대행사와 조합간 분쟁, 계파 갈등으로 각종 소송에 휘말리면서 사업추진이 걸음마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투자자 측은 지난 2018년 2개의 회계법인을 통해 조합의 모든 회계서류와 소송, 허가사항, 시공사발주, 설계발주 등의 실사를 통해 총 사업비를 약 7천800억원으로 확정했다.
4천500억원은 현금으로 일시투자하고 조합원 추가부담없이 투자자 책임 하에 일괄 투자된다.
현 조합 측은 총사업비 규모를 2017년 실시계획승인 당시 추산된 5천억원대로 파악해 PM사업자 선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기채분담금, 각종 세금, 공사비, 실시계획 승인조건 이행 비용 등의 증가로 7천800억원이 소요된다는 게 투자사들의 설명이다.
투자자 측은 실사를 통해 설계관련 발주 60건(약 480억원), 시공발주 9개사(약 700억원), 중대 소송 11개 중 4개를 파악했다.
(가칭)역삼구역 투자결정추진위원회 한 간부는 “조합 측은 즉시 투자협약을 체결해야 한다”며 “투자협약이 더 이상 지연될 경우 조합원의 파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이달중 소집총회를 강행하고, 4월 초 총회를 통해 조합장 해임 및 선임, 투자결정 3개(안)을 의결하는 임시총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투-미래에셋 컨소시엄’ 대표제안사인 미문디앤씨(PM) 대표는 “용인시 숙원사업이 지연되면서 발생된 조합원들의 엄청난 손실이 이번 투자결정으로 몇배의 재산가치를 제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현 조합 집행부와 조합원들간 화합에 발벗고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조합 측은 “개인적으로 사업설명회를 한 데 대해 가타부타 얘기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며 “PM사업자 공모에 30여 개 업체가 응모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최영재기자 cy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