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윌스기념병원 이동규 원장 “치매 예방, 뇌 자극되는 행동 자주해야”

2020.09.04 09:54:07 10면

2011년부터 지정된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
국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 치매 걸려
건망증과 달리 본인의 기억력 문제 인지 못해

 

오는 21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 알츠하이머협회가 함께 제정한 정한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이다.

 

우리나라 역시 치매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치매를 극복하기 위한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2011년부터 9월 21일을 ‘치매극복의 날’로 지정했다.

 

치매는 여러 원인에 의해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겨 일상생활을 혼자 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중앙치매센터 통계에 의하면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10명 중 1명이 치매에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년 620,000여 명이었던 치매 환자 수는 2019년 750,000만여 명으로 불과 4년 만에 27%의 증가율을 보였고, 2025년에는 백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치매는 원인과 증상에 따라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중 50~70%를 차지하는 것이 알츠하이머 치매인데 뇌 속의 베타아밀로이드나 타우 단백질이라는 독성물질이 쌓이면서 뇌세포의 퇴화가 진행되는 것이 원인이다.

 

이 외에도 지금까지 알려진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인자는 유전, 운동 부족, 고열량 식사, 고혈압 및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 등이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첫 번째 증상은 기억력 저하이다.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라는 부분에 독성물질이 쌓이면 기억력이 떨어진다. 아침에 먹은 음식이 뭔지, 매일 산책하던 공원이 어딘지 기억하지 못한다.

 

건망증의 경우 세세한 부분을 잊었다가도 귀띔을 해주면 금새 기억이 나고, 본인의 기억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반면 치매는 일 자체를 잊고, 귀띔을 해도 전혀 기억하지 못하며 본인의 기억력에 문제가 있음을 모른다는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병이 진행되면서 언어 구사력, 이해력, 읽기 및 쓰기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인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 자신이 누구인지도 잊고, 대소변 조절을 못하게 되는 등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

 

알츠하이머 치매를 치료하기 위해 많은 신약들이 개발 중이지만 아직까지는 효과와 안정성을 인정받은 약제는 없는 상태다.

 

현재 치매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중재치료, 운동치료 등으로, 완치보다는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모든 것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떤 사람이 치매에 덜 걸릴 수 있는지는 알 수 있다. 매일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머리를 쓰고, 몸을 움직이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중앙치매센터에서는 ‘치매예방수칙3·3·3’으로 치매예방에 동참할 것을 권하고 있다.

 

‘치매예방수칙3·3·3’은 ▲즐길 3권-운동, 식사조절 독서 ▲참는 3금-절주, 금연, 뇌 손상 예방 ▲챙길 3행-건강검진, 소통, 치매조기 발견이다.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치매인구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40~50대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하는 초로기 치매 역시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익숙하거나 편한 일보다는 뇌에 자극이 되는 활동을 해야 한다.

 

이 글을 본 지금, 가족과 친구들의 전화번호를 외우는 것부터 시작해도 뇌에 좋은 자극이 생길 것이다. (도움말=수원 윌스기념병원 뇌신경센터 이동규 원장 제공)

 

[ 경기신문/정리 = 신연경 기자 ]

신연경 기자 shinyk@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