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에 혈액, 대장암 외에 류마티스 관절염과도 연관성 나와

2022.07.25 16:07:02 10면

아주대병원 노충균·박범희 교수팀, 대변잠혈검사와 면역질환 관련성 제기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의 데이터 기반 연구...의학 분야 전문지에 발표
연구팀 “면역매개염증질환 조기발견 등 진단가능범위 확장 기여 기대”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노충균 교수(의료정보학과 박범희 교수·이은영 연구원)와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연구팀은 대변 속 혈액(대변잠혈)이 전신 염증성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 암 검진 자료를 이용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대장암 검진을 받은 약 900만 명의 대상자 중 나이와 성별을 고려한 160만 명의 대변 면역화학검사 결과를 양성과 음성으로 나눠 분석했다.

 

양성 환자군의 경우 추가로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출혈이 확인된 대상자(대장암, 염증성 장질환, 치질 등)는 제외했다.

 

두 그룹을 2019년 12월까지 약 8년간 추적 관찰해 면역매개염증질환 중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 건선 관절염의 발병률과 위험인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상자 104만 4955명 중 ▲류마티스 관절염 7645명(발생률 9.5명/1만 인년(1만 명당 1년 관찰했을 때 발생하는 수)) ▲루푸스 208명(0.26명/1만 인년) ▲건선성 관절염 101명(0.13명/1만 인년)이 새롭게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가장 많이 발생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수는 적지만, 우리나라 일반 인구 류마티스 발생률 1만 인년 당 1.7~4.2명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추적 1년차에 가장 많이 확인됐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대변 면역화학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온 경우, 음성에 비해 위험도가 16% 더 높았고, ▲여성 ▲70세 미만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군에서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직접적인 인과관계에 의해 면역매개염증질환의 발생을 설명하기 어렵지만,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의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노충균 교수는 “대변 면역화학검사가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면역매개염증질환을 조기 발견하거나 예측률을 높이는 등 진단 가능 범위를 더 넓히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 BMC medicine(인용지수: 11.150)에 ‘대변 면역화학검사 양성과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 홍반 루푸스, 건성 관절염의 발병률과의 관계‘란 제목으로 이달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정경아 기자 ccbbkg@naver.com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