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지난해 각종 도정 정책업무 추진 과정에서 드론(무인비행장치) 영상을 직접 제작해 22억 3000여만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6일 밝혔다.
도는 지난 2018년 5월부터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 자격을 소지한 전문가 4명을 채용해 토지정보과 공간정보드론팀을 드론 촬영 전담부서로 운영 중이다.
지난해 제공된 영상 605건은 ▲사업지 관리 192건 ▲문화재 112건 ▲심의자료 76건 ▲불법단속 76건 ▲지적분야 75건 ▲홍보자료 74건 등이다.
드론 영상의 용역단가가 일반 동영상 건당 100만 원, 3차원 영상(정사 영상) 건당 545만 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605건의 영상을 직접 제작해 22억 3000여만 원의 예산을 절감한 셈이다
도는 드론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한곳에 모은 ‘드론스페이스’를 활용해 증가하는 드론 영상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또 드론 긴급 항공촬영 지원체계도 마련해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 대응할 방침이다.
오창선 도 공간정보드론팀장은 “올해도 도시재생사업, 3기 신도시 사업지 관리, 재난‧재해상황 등에 드론 영상을 제공해 도정 업무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