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의 조경공사 권역별 통합발주 방식으로 인해 관외 업체들의 수주가 급증하고 있다는 지적이 관내 조경협의회와 의원들 간담회에서 나왔다.
6일 김포시의회와 조경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도시환경위 소속 김계순 의원과 배강민 부의장, 조경협의회 등이 가진 간담회에서 조경 예산과 발주량이 다른 지역 대비해 낮고 권역별 통합방식으로 관외 업체 수주가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조경협의회 측은 "관외 업체의 수주 증가로 지역 조경업체들이 일감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시가 사업별 발주 방식으로 전환해 관내 업체 우선 참여 보장과 녹지 조경 전문직 인력 배치 등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 여기에 이들은 "일부 관외 업체들이 지역 업체와의 공동 분담 이행이나 하도급 계약 시 지역 업체 참여를 유도하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이에 의원들은 "앞으로 있을 행정사무 감사에서 정책제안을 통해 조경업체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배강민 부의장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업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라며 “ 업체들의 근절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인력과 자본이 풍부한 관외 대형업체들이 지역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현실에서 과연 시가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공공조달의 취지를 살려내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지역 A 조경업체 대표는 “지역 여건을 가장 잘 아는 토종 관내 업체들이 사실상 외면받고 있다”라며 “기술력은 부족하지 않은데, 규모에서 밀려 참여 기회조차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 업체 대표는 “지난해 김포시에서 발주된 조경공사 시설 포함 관련해 약 100여 건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 중 60% 이상이 관외 업체가 수주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서 한 조경 전문가는 지역 균형 발전과 건설 생태계 유지를 위해 일정 비율의 관내 업체 참여를 의무화하는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시 회계과 관계자는 “조경공사뿐 아니라 도로 시설물 보수 등 사업 발주 시 규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지역 기업이 수주하도록 노력하고 있고, 관외 업체에서 입찰 될 시 지역 업체 인력과 하도급 이용을 권고하고 있다”라고 해명했다.
[ 경기신문 = 천용남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