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분진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대적 안전 대책에 나선다.
11일 도소방재난본부는 오는 8월까지 총 4개월간 도내 분진시설 보유 사업장을 대상으로 집중조사 및 화재 안전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김포에서 발생한 분진폭발 사고 이후 산업현장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분진은 공기 중에 퍼지기 쉬우면서도 폭발 위험이 높다. 특히 금속 분말이나 목재 가루처럼 인화성이 강한 물질은 작은 불씨에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소방당국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소방당국은 금속·목재 제조업체, 폐기물 처리업체 등 약 3000개소를 집중 점검 대상으로 설정해 본격적인 안전관리에 돌입한다. 주요 추진 내용은 ▲합동점검 ▲사업주 간담회 ▲현장안전지도 ▲관계자 교육 ▲제도 개선 등이다.
시·군과 산업안전보건공단은 합동점검과 위험물 관리, 소방시설 유지 상태 등도 점검한다. 이 과정에서 위반 사항 적발 시, 법에 따라 처분하거나 유관기관에 통보할 예정이다. 또 소방서장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분진 축적, 방폭·환기시설 작동 여부 등을 확인하고, 예방교육을 진행한다.
도소방재난본부와 경기도는 관련 법령 개선을 추진, 대기환경보전법상 관리 기준 강화를 환경부에 건의하고, 소방 기준 역시 현실에 맞게 개정할 방침이다.
김재병 도소방재난본부장은 "분진은 눈에 띄지 않지만 방치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며 "사업장의 자율안전관리 강화와 관계 기관의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