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 1기 여당 당대표 경선이 막바지에 치달으며 ‘굳히기’에 들어간 정청래 후보와 ‘뒤집기’를 노리고 있는 박찬대 후보의 신경전이 가열되는 모습이다.
전체 당원의 90%가 쏠려있는 호남·수도권 경선이 이른바 ‘원샷’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새 당대표 선출을 이틀 앞둔 31일 국민여론조사가 시작됐다. 수해복구를 계기로 순연됐던 호남과 수도권 권리당원 투표도 전날부터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19일과 20일에 진행된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과 영남권(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권리당원 누적 득표율에서 정 후보는 62.65%를 기록하며 37.35%의 박 후보를 앞서갔다.
정 후보 측에서는 지역별 균일 득표율을 이유로 민심이 반영됐다고 주장하는 반면 박 후보 측에서는 경선 연기를 계기로 인지도가 올라가며 골든크로스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앞서 정치권의 큰 파장을 일으켰던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갑질 논란을 두고 두 후보는 입장차를 보였다. 정 후보는 강 전 후보 지지를, 박 후보는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15%나 반영되는 대의원 표심의 영향력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전당대회 투표권이 있는 전국 대의원은 1만 7000여 명으로, 대의원 1명의 투표는 권리당원 17명에 해당한다.
100만 명을 넘긴 당원의 조직화는 사실상 어려운 반면 대의원의 경우 현역 의원과 지역위원장 등의 영향력이 미칠 수 있다는 점도 변수로 꼽힌다.
전국 최대 권리당원이 모여 있는 경기지역 의원들의 지지도 눈에 띈다.
정 후보를 향해선 김영환(고양정)·최민희(남양주갑)·문정복(시흥갑)·임오경(광명갑) 의원 등이, 박 후보를 향해선 김승원(수원갑) 경기도당 위원장과 부승찬(용인병)·민병덕(안양동안갑)·김기표(부천을)·이상식(용인갑) 의원 등이 공개지지 의사를 표했다.
두 후보가 마지막 TV토론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인 것도 눈에 띈다.
이들은 대의원·권리당원의 투표 가치가 1:1 이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하면서도 정 후보는 “대표가 되면 당장 실시하도록 하겠다”고 한 반면 박 후보는 “속도와 시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여론조사가 사작된 이날 정 후보는 SNS에 “민심을 이길 정권은 없고 당원을 이길 당원은 없다. 오직 민심, 당심만 믿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는 “개혁은 외치는 게 아니라 결과로 남기는 것이다. 성과 없는 구호는 책임 없는 정치”라며 “민심이 당심이고 당심이 명심이다. 저 박찬대는 민심·당심·명심을 하나로 모으는데 앞장서 온 사람”이라고 피력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