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스타트업 천국’ 판교에 최초 입주한 서강대학교 디지털혁신캠퍼스를 환영하며 대한민국 미래첨단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13일 성남시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서 열린 서강대학교 디지털혁신캠퍼스 개소식에서 “판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뛰어난 스타트업과 혁신가들의 고향”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이런 판교에 들어오는 서강대 디지털혁신캠퍼스는 기업과 함께 연구하는 대학, 판교 입주 대학 등 두 가지 측면에서 국내 최초라는 타이틀을 갖게 된다”고 했다.
그는 “대학과 기업이 한 공간에서 첨단 AI 연구와 스타트업 육성을 진행하는 캠퍼스”라며 “앞으로 대학들과 학교 기관들, 교육 기관들이 들어올 계획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산학협력대학으로의 자리매김을 위한 경기도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서강대 디지털혁신캠퍼스는 수동적·간접적 외부 지원이라는 기존의 산학협력체계를 벗어나 대학 자체가 스타트업 생태계의 일원이 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판교라는 한 공간에서 스타트업의 육성, 투자, 사업화가 이뤄지는 맞춤형 창업지원이 가능해졌다”며 “앞으로 캠퍼스가 성남시, 경기도를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첨단산업을 이끌어가는 선도적 산학협력대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도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서강대 심종혁 총장·우재명 이사장, 김태년 국회의원, 신상진 성남시장, 유관기관·기업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서강대 디지털혁신캠퍼스는 처음으로 대학과 기업이 한 공간에서 첨단 AI 연구와 스타트업 육성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판교 위든타워 3~6층(연면적 2만 8896㎡)에 있으며 AI·시스템반도체·첨단모빌리티 분야 기업과 함께 연구와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서강대 창업지원단과 팹리스협회, 반도체교육센터 등이 참여해 ▲경기도 스타트업 정책의 랜드마크화 ▲AI, 시스템반도체,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경영 등 미래산업 분야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 중심 운영 ▲기술사업화, 창업, 글로벌 진출까지 연계하는 통합 지원 프로그램 마련 등 대학의 경계를 허물고 기업과 지역이 함께 융합하는 새로운 지·산·학 협력 모델을 지향한다.
지난달부터 전기·전자·컴퓨터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중 도내 거주하는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반도체설계 전문가 과정’을 운영 중이다.
또 AI와 시스템반도체 분야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고급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서강대 판교 디지털혁신캠퍼스가 ‘RISE(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 정책과 맞춰 산업 현장에 필요한 실무형 인재 양성, 기술창업 지원, 지역 기업과 혁신적 결과물을 만드는 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