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성형 AI ‘코파일럿(Copilot)’을 탑재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콘텐츠 검색부터 학습 지원, 일상 대화까지 가능한 AI 기반 맞춤형 경험을 TV와 모니터에서 누릴 수 있게 된다.
28일 삼성전자는 올해 마이크로RGB, Neo QLED, OLED, 더 프레임 프로, 더 프레임 등 2025년형 TV 라인업과 M7·M8·M9 모니터에 코파일럿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AI TV에 도입된 ‘클릭 투 서치(Click to Search)’ 기능과 강화된 음성 비서 ‘빅스비(Bixby)’에 이어, 삼성 AI 스크린의 기능을 한층 확장하는 조치다.
삼성이 말하는 AI 스크린은 단순 시청 기기를 넘어 생활 전반에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동반자 개념이다. 이번에 탑재된 코파일럿은 음성 기반 상호작용을 통해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 검색 ▲외국어 학습 지원 ▲일상 대화를 통한 위로와 공감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이별 후 기분 전환할 수 있는 콘텐츠를 찾아줘” “서울 중구 토요일 하이킹 날씨 어때?” 같은 일상적인 질문부터, “외국어 회화를 대화로 연습하고 싶다”는 학습 요청까지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코파일럿은 타이젠 OS 홈 화면, 삼성 데일리 플러스, 클릭 투 서치 기능을 통해 실행된다.
이상욱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코파일럿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하며, AI TV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맞춤형 경험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워싱턴 마이크로소프트 AI 파트너 총괄 매니저는 “삼성과의 협업은 TV를 단순 시청 기기를 넘어 콘텐츠를 찾고, 묻고, 일상을 나누는 플랫폼으로 진화시켰다”며 “삼성 TV에 탑재된 코파일럿은 생활 속 AI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코파일럿 탑재를 시작으로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오픈 파트너십을 확대해 AI TV와 모니터의 기능을 지속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