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에서 픽시자전거를 타는 학생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없음.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0936/art_17569648891421_3fd575.jpg)
브레이크 없는 픽시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가 청소년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나, 학교 현장의 교통안전 교육은 여전히 이론 중심에 머물고 있다. 사고 통계가 매년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체험형 안전 교육은 제대로 추진되지 않아 실효성 없는 ‘형식적 수업’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자전거·전동 킥보드 관련 청소년 사고는 2022년 312건, 2023년 428건, 2024년 500건 이상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브레이크가 없는 픽시 자전거는 급정지가 불가능해 도심 주행 시 사고 위험이 크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의 안전 수업은 학생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도내 다수의 교사들은 “교통안전 수업이 교재 낭독 수준에 그치면서 학생들은 집중하지 못하고 지루해한다”고 지적했다. 수업량 과다, 교사의 비전문성, 위탁 강사의 일방적 강연 등 구조적 한계가 겹친 탓이다.
실제 A중학교 2학년 학생은 “자전거나 킥보드를 타면서 위험한 순간이 많았지만, 학교 수업에서 배운 건 기억에 남지 않는다”며 “운동장에서 직접 연습할 수 있다면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장 교사들 역시 체험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 교사는 “학생들에게 이동수단을 직접 다뤄보게 하면 단순한 경고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며 “안전모 착용법, 급정지 요령 등을 몸으로 배우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의견에도 불구하고 체험형 프로그램은 진척이 없다. 임태희 교육감은 당선 직후 전동 킥보드 체험 교육 도입을 공언했지만 예산과 안전 책임 문제로 실행되지 못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통안전 관리공단과 협력해 찾아가는 수업, 5분 안전 교육 영상을 운영 중”이라며 “법정 기준에 맞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영상 시청이나 일방적 강연으로는 학생들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비판이 거세다.
해외 사례는 대조적이다. 일본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파크’를 운영해 실제 도로 환경을 모의 체험하게 한다. 독일은 자전거 전용 훈련장을 마련해 경찰관이 직접 학생들에게 안전한 주행법을 지도한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단발성 캠페인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체험형 교육 인프라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희정 경기교사노조 대변인은 “교통안전뿐 아니라 자살예방, 도박 예방 등 수많은 교육이 쏟아지면서 현장은 포화 상태”라며 “교사 전문성이 부족한 분야는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 장기적 체험교육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결국 사고 위험은 커지는데 교육은 제자리걸음이라는 비판 속에, 학생들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지키기 위한 교육청의 결단과 투자 여부가 관건이 되고 있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