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공식 부대행사인 ‘2025 APEC CEO 서밋’이 내달 28일부터 31일까지 나흘간 경주에서 열린다. 글로벌 기술·경제계를 대표하는 거물급 인사들이 대거 방한할지 여부에 국내외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이번 포럼은 기업·정부·학계가 함께 모여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차 산업 핵심 의제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자리다. 단순한 기업 행사에 그치지 않고 국가 간 기술·경제 협력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무대로 기대된다.
가장 큰 관심을 모으는 인물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한미 정상회담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직접 초청 의사를 전했고, 황 CEO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황 CEO는 행사 마지막 날인 10월 31일 AI 주제를 다루는 단독 세션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AI 칩 시장을 선도하는 엔비디아 수장이 직접 한국을 찾게 되면, 반도체·AI 전략을 둘러싼 국제 논의에도 큰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의 참석 여부도 주목된다. 오픈AI는 이달 ‘오픈AI 코리아’를 출범하며 한국을 AI 전환의 주요 파트너로 지목했다. 올트먼 CEO가 경주 무대에 오를 경우 카카오와의 공동 개발, 삼성전자·SK와의 반도체·하드웨어 협력, 나아가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 참여까지 구체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한 팀 쿡 애플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 미국 빅테크 총수들이 초청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중국에서도 에디 우 알리바바 CEO와 추 쇼우즈 틱톡 CEO가 방한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인다면 데이터·AI 규제,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등 역내 협력 논의의 장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서밋에는 1700여 명의 글로벌 기업 리더 및 임직원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까지 900여 명이 참가를 확정한 상태다.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도 세계적 거물들의 방한을 성사시키기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글로벌 AI 전환과 반도체 공급망 문제가 주요국 전략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이번 APEC CEO 서밋은 단순한 홍보·교류를 넘어 ‘산업정책·기술 거버넌스’의 비공식 협의체로 기능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가 ▲엔비디아·오픈AI 등 핵심 AI 기업들의 참여 ▲글로벌 빅테크 리더들의 대규모 집결 ▲실무적 파트너십 및 공급망 논의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큰 파급력을 가질 것이라고 분석한다.
재계 관계자는 “글로벌 빅테크 리더들이 대거 모일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도 협력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