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6일 예정된 금융권 총파업을 앞두고 금융산업 노사 간 주 4.5일제 도입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사측은 사회적 공감대 부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는 반면, 노조는 향후 10년을 내다본 선제 시행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맞서고 있다.
24일 오후 금융노조는 주 4.5일제 도입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서울 은행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6일 금융권 총파업을 예고했다. 현재까지 노사 협의는 뚜렷한 진척 없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양측에 대화를 통해 극단적 대결을 피하라고 촉구했으나 돌파구는 보이지 않는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주 4.5일제 도입 불가 사유 중 하나로 사회적 공감대 부족을 꼽았다. 금융권에 고액 연봉자가 다수 포진해 있는 만큼, “억대 연봉을 받으면서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한다”는 여론의 비판이 적지 않다. 일부에서는 금융권 노동자들을 ‘귀족 노동자’라 지칭하며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주 4.5일제가 놀자판을 만들자는 취지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금융산업이 선제적으로 주 4.5일제를 시행해 노동시간 단축과 노동자 권익보호의 변화를 선동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금융권은 2002년 7월 국내에서 가장 먼저 토요휴무제를 통해 주 5일제를 도입한 선례가 있다. 이후 5일제가 점진적으로 확대돼 2011년 7월 5인 이상 사업장까지 적용됐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 10년을 내다본다면 지금 당장 주 4.5일제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사회적 공감대가 제도 시행 이후 형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금융권이 먼저 도입해 확산을 견인하면 다른 산업도 빠르게 제도 변화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노사 모두가 갈등을 반복하기보다 제도적 실험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지적한다.
[ 경기신문 = 강혜림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