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1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전날 조희대 대법원장이 출석한 가운데 난장판에 가까운 국감을 했던 여야는 이날도 검찰의 이 전 부지사에 대한 ‘연어·술파티 의혹’을 거듭 제기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이 전 부지사의 변호인이 김현지 현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질책을 받고 교체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국민의힘 의원들 간 뜨거운 설전을 주고받았다.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연어·술파티 의혹’에 대해 이 전 부지사에게 “술도 (당시 수사검사인) 박(상용) 검사 허락하에 들어갔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이 전 부지사는 “박 검사가 허락했는지는 모르겠으나 박 검사가 동석한 자리에서 술자리가 있었다”고 답했다.
서 의원은 또 “(검찰이) 이 대통령을 엮으려고 노력했는가”라고 물었고, 이 전 부지사는 “검찰은 이재명 당시 대표에 대해 진술하면 형을 감면하거나 바로 석방해주겠다는 조건을 끊임없이 제시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전 부지사는 “이재명을 엮으려고 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검찰이) 아들에 대해서도 구속시키겠다고 협박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박균택 의원은 정성호 법무부 장관에게 ‘연어·술파티 의혹’에 대한 감찰 지시에 대해 “뻔해 보이는 감찰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수사권까지 가지고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수사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해주면 어떤가”라고 질의했다.
이에 정 장관은 “감찰 결과 위법행위가 드러나면 당연히 수사로 가지 않을까”라며 “결과를 보고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대북 송금 사건 수사를 맡았던 박상용 법무연수원 교수(당시 수원지검 부부장검사)에게 “(이 전 부지사가) 설주완 변호사를 사임시키고 김광민 변호사를 새로 선임하는 과정에서 당시 이재명 대표 최측근이었던 김현지(부속실장)가 직접 챙겼다고 한다”며 “그런 사실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박 교수는 “설 변호사가 갑자기 사임해 이유를 물어보니, 민주당의 김현지님으로부터 전화로 질책을 많이 받아서 더 이상 나올 수 없다고 했다”고 답했다.
주 의원은 “이 사건은 이재명 당시 대표와 공범 관계 문제가 되는 사건이다. 공범 관계의 최측근이 공범인 사람에 대해서 변호인을 질책하고 왜 자백했느냐고 따지고 변호사를 자르라고 했다면 그 자체가 증거 인멸이고 위증교사”라며 “김현지(부속실장)가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곽규택 의원은 정 장관에게 ‘연어·술파티 의혹’ 관련 감찰 지시에 대해 “결국 공소 취소의 빌미를 만들려고 빌드업하려는 것 아닌지 굉장히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김재민·한주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