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년도 유기동물 지원 예산이 올해보다 소폭 증액됐다. 재정 상황이 열악한 군·구간 예산 매칭 비율로 지원 사업이 이뤄지는 만큼 열악한 환경에 그친 올해 유기동물 지원 규모에 머무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6일 시에 따르면 내년도 유기동물 지원 예산은 모두 12억 9030만 원(시비 3억 1510만 원, 군·구비 9억 7520만 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올해 본예산과 추가경정예산을 합한 금액으로 사실상 올해 지원사업을 유지하는 데 소진될 가능성이 높다.
올해 예산 확충을 통해 지원폭을 넓힌 유기동물 사업은 군·구 유기동물 구조보호 업무 위탁 기본 비용 관련 기존 마리당 15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늘었다. 관리 대상도 6040마리에서 6305마리로 증가했고, 검진 치료비 지원도 1000마리에서 1880마리로 상향했다.
시는 시의회의 예산 삭감 기조에 내년도 지원 예산이 올해 수준에 그친 만큼 지원 규모 역시도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매년 지역에서 유기동물이 큰 폭으로 늘고 있는데다 이들을 보호하는 환경 역시도 취약한 수준에 놓여 있어 예산 확충을 통한 개선사업이 시급하다는 점이다.
시가 10개 군·구를 통해 집계한 유기동물 현황을 보면 2022년 5629마리에서 2023년 5542마리, 지난해 5517마리 등이 견주로부터 버려졌다. 매일 10개 군·구에서 15마리 안팎의 유기동물이 생겨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들 유기동물을 보호하는 ‘유기동물보호소’ 역시도 재정난을 이유로 취약한 관리가 지속되고 있다.
시는 최근 유기동물보호소의 견사가 동물별로 구분되지 않아 일부 동물들에게서 크고 작은 상처가 생겨나고 있는 정황을 확인했다. 또 물그릇과 패드, 담요 등도 모두 함께 사용돼 전염병에 걸린 동물들로부터 비감염 동물들이 질병에 노출돼 있는 정황을 파악했다.
유기동물보호소는 인천시수의사회과 위탁관리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인천수의사회는 매년 물가상승분을 반영해 예산 확충을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아 취약한 관리를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다.
인천수의사회 관계자는 “매년 예산이 부족해 자비를 들여 일부 시설을 개선하기도 했지만 너무 힘든 실정”이라며 “경기도나 강원도 기초단체들보다 적은 예산을 세우는 인천시 실정에 답답한 심정이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여러 사업을 계획해 예산을 편성했지만 시의회에서 대부분을 삭감해 지난해와 같은 예산이 편성된 것”이라며 “추경을 통해 유기동물 지원 사업을 확대하는 등 대책들을 강구하겠다”고 해명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