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0일 돌봄종사자와 발달장애인 보호자 등을 만나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환경 개선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이날 민생경제 현장투어 17번째 방문지로 파주시에 있는 제1호 ‘경기도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센터’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간담회에서 돌봄종사자들이 제한적인 지원 제도·지침 등으로 열악한 근로환경에 처해 있다는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즉시 관련 도 부서에 종사자 처우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김 지사는 “돌봄종사자 처우 개선을 위해 도가 특별히 검토하겠다”며 “보건복지부에 기대는 것보다 도가 (처우 개선을) 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처우 개선(관련 예산)은 올해 예산 심사에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이번에 아니더라도 내년 1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반영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해야 할) 확신이 있는 건 우리가 했으면 좋겠다”며 “도도 중앙정부 못지않게 의지가 있고 힘이 있다”며 “불 끄는 소방대원, 범죄자를 잡는 경찰 등이 다 공공재다. 시혜라고 생각하면 안 되고, 국가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아울러 “(발달장애인 돌봄에) 규정을 얘기할 게 아니라 관점을 바꿔야 한다. 불이 났는데 규정을 따져서 불을 끄나. 발달장애인 돌봄 등도 사회 공동의 책임”이라며 “(도가) 대한민국 어디보다 가장 앞장서 하겠다”고 피력해"ㅆ다.
김 지사는 간담회 이후 통합돌봄센터에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돌봄서비스인 그림 그리기, 음악 활동 등을 함께했다.
한편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는 사회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18세 이상 65세 미만 지적·자폐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말한다.
구체적인 활동으로는 낮 활동 서비스와 주거 서비스를 24시간 개별 1대 1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주말에는 가정으로 복귀하는 형태로 최중증 발달장애인 보호자에게는 평범한 일상을, 장애인 당사자에게는 안정된 일상을 제공하는 게 목표다.
도는 지난해 12월 파주를 시작으로 올해 4월 수원에 두 번째, 9월 안산에 세 번째 센터를 각각 개소한 바 있다. 센터별로 최대 이용 정원이 10명인 가운데 3개 센터 총이용자는 현재 10명이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