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동두천 12.1℃
  • 맑음강릉 12.4℃
  • 맑음서울 15.9℃
  • 맑음대전 13.7℃
  • 구름조금대구 16.3℃
  • 흐림울산 15.5℃
  • 맑음광주 15.3℃
  • 구름조금부산 16.3℃
  • 맑음고창 12.9℃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3.4℃
  • 맑음보은 11.5℃
  • 맑음금산 10.9℃
  • 구름조금강진군 12.9℃
  • 구름많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4.8℃
기상청 제공

서울·인천·경기 아파트 선호 면적 ‘양극화’

경기지역 거주자는 집을 매입 할 때 중대형 아파트를 선호하지만 서울과 인천지역은 중대형보다 중소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부동산1번지 스피드뱅크(www.speedbank.co.kr)에 따르면 연초대비 아파트 규모별 매매가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경기지역은 중대형 아파트가(30·40평대) 중소형에 비해 상승폭이 높은 반면 서울과 인천은 중소형 규모(20평대이하)의 아파트 상승률이 중대형 아파트(30평대이상)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달 1일 시행하는 분양가상한제와 분양원가 공시, 청약 가점제 등 올 해 하반기 부동산시장은 새롭게 시행되는 굵직굵직한 정책들이 많다.

이러한 정책들이 부동산 시장에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올해 하반기 시행예정인 주택정책을 시행시기에 따라 짚어보기로 한다.

서울에서는 66㎡ 미만(20평 미만) 아파트가 연초대비 2.52%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66㎡~99㎡ 아파트도(20평대) 2.15% 상승했다.

그러나 135㎡~165㎡(40평대) 아파트는 연초에 비해 0.14% 오르는데 그쳤고, 165㎡(50평)이상의 아파트는 0.05% 하락해 규모별 상승폭이 대조를 이뤘다.

반면 경기도는 135㎡~165㎡(40평대) 아파트가 연초에 비해 0.90% 올라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데 이어 99㎡~135㎡(30평대) 아파트가 0.45% 올라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서울과 인천에서 높게 나타난 66㎡미만(20평 미만)의 소형 아파트값은 경기지역에서 오히려 0.3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리시의 경우 135㎡~165㎡(40평대)가 0.70% 오른데 비해 66㎡~99㎡ 아파트는(20평대) 1.32% 하락했으며 성남, 양주, 여주, 의정부 등도 중대형아파트 상승률이 중소형 아파트 상승률 보다 높았다.

이는 서울에 비해 경기도의 부지 매입비가 훨씬 낮기 때문에 건설사 대부분이 중소형 아파트 보다는 중대형아파트 건설을 선호하고 있는데다 아파트 가격도 서울에 비해 경기도가 싸기 때문에 40평대를 넘더라도 아파트값이 6억원을 넘지 않아 대출규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또 최근 서울에 거주했던 수요자들이 평형을 넓혀 인근 경기도로 이사가는 경우가 많아 경기 외곽지역의 중대형아파트가 강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의정부 신곡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경전철 등 교통여건이 좋아지면서 서울 거주민 중에서도 의정부 아파트를 찾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은 중소형보다는 주로 40평대 이상 대형평형을 매입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은 대출규제로 인해 자금줄이 묶이자 실수요자 위주로 시장이 재편된데다 강북지역의 경우 중소형 전세 매물을 구하지 못한 전세 수요자들이 매매로 돌아서 중소형 아파트값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강북구 수유동 하나공인 관계자는 “강북구의 경우 20평대 거래가 총 거래의 절반 이상”이라며 “20평대 거래는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40평대 이상은 관망세로 돌아서서 거래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광진구 자양동 현대7차의 경우 109㎡(33평형)가격 상승폭이 142㎡(43평형)보다 높은 역전현상이 일어났다. 109㎡의 시세는 연초 4억5천만원~6억원에서 15일 기준 5억~7억원으로 평균 7천500만원이 올랐지만 142㎡는 5억8천만원~7억5천만원이던 시세가 현재 5억8천만원~8억원으로 평균 2천500만원 올라 상승폭이 큰 차이를 보였다.

인천 역시 서울과 비슷한 양상을 띄면서 송도신도시 등 입주물량이 대형아파트 위주로 이뤄진 연수구의 경우 중소형아파트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 수준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연수구 동춘동 소망공인 관계자는 “최근 대규모 입주물량 중에서 중소형아파트를 찾아보기 힘들어 기존 아파트 거래시장에서 중소형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피드뱅크 조민이 연구원은 “서울과 인천지역에서 중소형아파트가 중대형아파트 상승폭을 앞지르는 역전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규제가 여전한 상태고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있어 실수요 위주인 중소형아파트의 인기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달부터 보험회사, 상호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 DTI 적용이 확대되기 때문에 자금부담이 있는 중대형아파트의 거래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