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0℃
  • 구름많음강릉 16.9℃
  • 흐림서울 17.6℃
  • 구름많음대전 16.7℃
  • 구름많음대구 19.2℃
  • 구름많음울산 18.3℃
  • 흐림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20.0℃
  • 흐림고창 17.0℃
  • 구름많음제주 17.9℃
  • 맑음강화 15.7℃
  • 흐림보은 16.2℃
  • 구름많음금산 14.9℃
  • 구름많음강진군 16.9℃
  • 구름많음경주시 19.3℃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참사 원인은 소방당국 안전불감증 탓”

정문식 의원 화재위험 높은 판넬 실태점검 등 사후조치 미흡 지적

무려 40명의 사망자를 낸 이천 냉동물류 창고 대형참사가 도 소방당국의 총체적 ‘안전불감증’ 탓이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번 참사가 발생한 코리아2000 냉동창고(2만8천480㎡)와 지난 11월 발생했던 CJ 냉동창고의 내장재가 화재위험이 높은 샌드위치 판넬이라는 점에서 소방당국의 사후 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8일 도의회 정문식(한·고양3) 의원은 “지난 CJ화재 이후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화재 위험성이 높고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로 인한 대형 참사의 우려가 있는 곳에 대한 소방방제대책을 마련토록 소방본부에 요청했다”며 “그러나 도내 화재 취약 시설에 대한 실태점검 및 대비책을 마련해 보고하겠다던 소방본부로부터 어떠한 결과보고도 받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소방본부가 CJ사건 이후 조금만 신경써서 화재 취약 구조물에 대한 실태조사를 했다면 이번 사고는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이번 참사는 소방당국이 지난 CJ화재로 어떤 교훈을 얻고,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의문이 들게 하는 대목”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코리아2000 물류 창고가 지난해 10월 소방준공 검사를 받을 당시에는 소방시설물에 이상이 없었다”며 “이후 코리아2000측이 일반물류 창고를 냉동물류 창고로의 용도변경을 위한 내부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사고 발생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그는 “건축법상 3만㎡이하의 건물을 용도변경할 경우에는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며 “사업자측에서 따로 소방시설 변경 승인을 요청하지 않을 경우 이미 소방준공 검사를 받은 곳을 조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 의원은 “비슷한 유형의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재난대처 능력이 후진국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소방본부는 (CJ사고 이후) 화재 위험성이 높은 시설에서 고위험도의 작업을 할 때 신고토록 하는 등의 규정을 만들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