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2 (수)

  • 구름조금동두천 28.6℃
  • 맑음강릉 33.6℃
  • 맑음서울 29.3℃
  • 맑음대전 28.8℃
  • 맑음대구 30.7℃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28.6℃
  • 맑음부산 27.5℃
  • 맑음고창 28.6℃
  • 구름많음제주 23.6℃
  • 구름조금강화 24.7℃
  • 맑음보은 28.0℃
  • 맑음금산 28.7℃
  • 구름조금강진군 28.8℃
  • 맑음경주시 32.1℃
  • 맑음거제 28.4℃
기상청 제공

연이은 관광버스 대형참사 근본대책 절실

작년 가을철 사고 전체의 21%… 운전자 운행 등 점검 요구

지난달 13일 승객 10명이 목숨을 잃은 경부고속도로 언양분기점 관광버스 참사 이후 불과 20여일 만에 관광버스 참극이 빚어졌다. 대형 버스는 많게는 40여명이 탑승해 사고가 났다 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져 행락철 쉴 새 없이 많은 승객을 태워 나르는 대형 관광버스를 놓고 ‘달리는 시한폭탄’이란 지적까지 나온다.

6일 오전 9시 32분쯤 대전시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 회덕 분기점 인근(부산 기점 278㎞)에서 이모(55)씨가 몰던 관광버스가 도로 옆 가로등을 들이받은 뒤 우측으로 넘어지는 사고로 승객 4명이 숨지고 22명이 다쳤다.

관광버스에는 충남 대둔산으로 단풍놀이를 가던 수원의 한 산악회 회원과 운전자 등 총 49명이 타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관광버스 사고가 대형참사로 이어지는 일이 반복되면서 근본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지난해 발생한 대형 버스 교통사고 2천282건 중 가을철인 10∼11월에 전체의 20.9%가 발생, 관광버스 운전자의 무리한 운행이나 난폭, 대열운행 등에 대한 점검도 요구된다.

실제 지난 7월 평창 봉평터널 참사 이후 정부는 ‘운수종사자가 4시간 연속 운행하면 최소 30분의 휴식시간을 확보하도록 강제하기 위한 법령 개정을 연말까지 진행한다’고 밝혔고, 차량의 디지털 운행기록을 최소 휴식시간 미준수와 속도제한장치 무단해제 여부 단속에 활용하기 위한 법령 개정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지만 연이은 관광버스 대형 참사로 우려가 끊이지 않는 상태다.

정관목 교통안전공단 교수는 “단풍철 사고가 10∼20% 가량 많은데 단체 관광객이 대형 버스를 주로 이용해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그만큼 크다”면서 “땜질식 처방으로는 근본적인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없는 만큼 근본적인 대책과 함께 사고 시 승객을 신속히 대피시킬 수 있도록 대형 버스 운전자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상훈·손정은기자 sonje@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