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12.0℃
  • 맑음강릉 20.4℃
  • 맑음서울 15.3℃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7℃
  • 맑음울산 12.1℃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4.6℃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5.3℃
  • 맑음강화 10.5℃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10.4℃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10.5℃
  • 맑음거제 11.5℃
기상청 제공

[眞誠愛칼럼]해학과 재미가 넘쳐나는 삶

 

 

 

 

 

“비 맞은 닭이 구시렁구시렁 / 되똥되똥 걸어와 후다닥 헛간 볏짚 위에 오른다 / 그리고 아주 잠깐 사이 / 눈부신 새하얀 뜨거운 알을 낳는다 / 비 맞은 닭이 구시렁구시렁 미주알께를 오물락거리며 다시 일 나간다”

이시영 시인의 「당숙모」라는 작품이다. 당숙모는 종숙모라고 부르는 5촌으로 시골에서는 흔히 ‘아지매’라 부르기도 했다. 새끼를 여러 마리 품고 있는 암탉의 사진들을 종종 보듯 여기 ‘당숙모’는 그런 암탉으로 그려져 있다. 암탉이 집밖에 나갔다가 꼬꼬댁거리며 집안에 들어오듯 밭일을 나갔다가 당숙모가 집에 들어온다. 아이들이 난장판을 벌이며 놀고 있다. “이놈 새끼들아 제발 좀 어지르지 말고 치우면서 놀아라.” 구시렁거리면서 얼른 부엌으로 들어가 따뜻한 밥을 차려 내온다. 집안에 할머니에게도 차려주고 애들도 먹고 자신도 한 술 뜨는 둥 마는 둥 다시 일을 나간다. “싸우지 말아라. 흙 장난질 치다 옷 버리지 말고…” 또 구시렁대며 밭일을 간다. ‘미주알께’를 오물락거리며. 미주알은 항문을 이르는 말이니 정말 우스꽝스럽지 아니한가. 다소 수다스럽지만 생활력이 강한 푹 퍼진 아지매의 뒷모습이 저절로 그려진다. 몸배바지를 입고 뒤똥거리며 일 나가는 모습이 그려지면서 절로 웃음을 머금게 하는 작품이다. 이런 작품들이 주는 것이 바로 해학의 미학이다. 복잡한 현대 생활을 살아가면서 생활의 윤활유 같은 역할을 문학이 해준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문학에서 재미성, 더 나아가 해학성은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현대시나 시조가 고(古)시가보다 못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이점에서일 것이다. 고시가에서 해학적 요소는 중요한 미적 요소인 반면 현대시나 현대시조에서는 이러한 면에서 너무 진지한 쪽으로 변모해버렸다. 해학은 잘 알다시피 사회적 현상이나 현실을 우스꽝스럽게 드러내는 방법이다. 해학은 풍자와 함께 혼용되는 중요한 미학적 방법이다. 둘은 주어진 사실을 곧이곧대로 드러내지 않고 과장하거나 왜곡하거나 비꼬아서 표현하는 기법이다. 해학이 공격받는 대상에 대한 동정으로 인하여 읽는 이에게 그런 상황을 공감하게 하여 우호적인 시각을 갖게 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 이와 비슷하게 쓰이는 풍자는 대상에 대해 부정적 비판적 태도를 취하므로 아이러니(Irony)와 비슷하다. 그러나 풍자는 어떤 면에서 아이러니보다도 더 날카롭고 노골적인 공격 의도를 지닌다. 예를 들어 『흥부전』에서 ‘흥부’는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동정심을 유발시키는 대상이라면, ‘놀부’는 노골적인 공격의 풍자 대상이 된다. 소설에서는 김유정이 「봄봄」, 「동백꽃」, 「만무방」 등의 작품을 통하여 고전문학 속에 나타나는 해학성을 계승하면서 당대 서민들의 현실을 형상화하여 웃음으로 비참한 현실에 대응할 수 있는 힘을 주기는 했지만 시나 시조에서 이러한 전통계승은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 되고 말았다.

해학적인 시나 시조들이 많이 창작되어 어려울수록 따뜻한 마음을 전해주면 좋겠다. 모두가 힘들게 넘어가고 있는 2020년 여름 「당숙모」같은 친근한 웃음이 그리워진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