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2 (일)

  • 맑음동두천 21.2℃
  • 구름조금강릉 24.0℃
  • 황사서울 20.5℃
  • 황사대전 22.2℃
  • 황사대구 23.5℃
  • 황사울산 23.0℃
  • 황사광주 22.6℃
  • 황사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18.6℃
  • 황사제주 18.9℃
  • 맑음강화 19.7℃
  • 구름조금보은 20.5℃
  • 구름많음금산 20.9℃
  • 구름많음강진군 24.2℃
  • 구름많음경주시 23.4℃
  • 구름많음거제 21.4℃
기상청 제공

[고서의 향기]신독(愼獨),  홀로 있을 때 삼가다

 

‘대학(大學)’은 BC 43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작자에 대하여는 여러 설이 있으나 후한 때의 경학자인 가규(賈逵)에 의하면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가학(家學)의 민멸(泯滅)을 우려하여 ‘대학’을 지어 경(經)으로 하고, ‘중용’을 지어 위(緯)로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책은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정치철학과 유학(儒學)의 정수를 담고 있는 경전이다.


그래서 ‘대학’은 천하를 이끄는 군주나 위정자(爲政者)가 익혀야 할 학문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전문(全文)이 1천750여 자(字)의 짧은 글이지만, 송나라 때에 주자학이 일어나면서 ‘대학(大學)·중용(中庸)·논어(論語)·맹자(孟子)’ 순으로 불리듯 ‘사서(四書)’의 필두에 자리하고 있다. 주자가 쓴 대학의 서문은 이렇게 시작한다.


“大學(대학)이란 책은 옛날 태학(太學)에서 사람을 가르치는 법(法)이다. 하늘이 백성을 내렸을 때부터 이미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을 부여(賦與)해 주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러나 사람마다 기질(氣質)을 품수 받은 것이 혹 같을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모두 그 본성에 지닌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알아 그 성품을 사람마다 온전히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 사람이라도 총명(聰明)하고 예지(睿智)하여 능히 그 본성을 다하는 자(者)가 백성들 사이에 나오면, 곧 하늘이 반드시 그에게 명하여 억조 만백성의 군주와 스승으로 삼아서, 그로 하여금 백성들을 다스리고 가르쳐서 그 본성을 회복하게 하신다” 하였다.


‘모든 백성이 하늘에서 부여받은 본성은 같으나 그 기질이 다 같지 않으므로 하늘이 내린 현자에게 만백성을 깨우치게 가르치는 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백성을 새롭게(新民) 할 군자가 배우는 학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조선의 왕들은 대학을 제왕의 정치 귀감으로 편찬하여 어전에서 강의하게 하는 전통을 유지해 왔다. 인간은 성의(誠意), 정심(正心)을 통하여 수신(修身)해야만 제가(齊家)를 이룬 후에 치국(治國)하고 천하를 평안하게 할 수 있다고 가르치며 백성의 지도자, 즉 군자(君子)에게는 혹독한 자기관리와 정심(正心)을 요구하고 있다. 수신(修身)의 귀결은 자기 자신을 속이지 않는 것(毋自欺)이라고 정의하면서 그러기 위해서 군자는 반드시 홀로 있을 때 조심하는 것(愼獨)이라고 하였다. 옛 선조들은 “혼자 있을 때는 자신의 그림자에게 조차 부끄러운 일을 해서는 안된다”라고 하며 악(惡)을 행하는 것은 악취를 싫어하는 것같이 하고, 선(善)을 행하는 것은 좋은 색을 좋아하는 것 같이하는 마음 상태, ‘꺼림직한 것 하나 없는 스스로 만족한 상태(自謙)’를 군자가 수신해야 하는 덕목으로 삼았다.


‘대학’에서는 “소인(小人)은 남이 안 보는 곳에서는 못하는 짓이 없고, 군자(君子)가 볼 때는 몰래 그 못된 짓을 감추고 잘난 짓만 드러내려 한다”며 소인의 위선을 비판하였다. 이에 대하여 증자는 “열 눈이 보고 있으며 열 손가락이 가리키는 것이니, 그 얼마나 엄한 것인가” 하였다. ‘대학’의 가르침은 또 “군자는 자기의 마음으로 남을 헤아린다”라고 하였다. 이는 윗사람이 자신에게 싫은 일을 시키면 자신도 아랫사람에게 그가 싫어할 일을 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말이다.


며칠 전 박원순 서울시장의 장례식이 있었다. 그는 사회운동가로, 인권변호사로,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아 온 대한민국의 탑 반열에 있는 지도자 중의 한 사람이었다. 갑작스런 그의 죽음과 시정(市井)에 알려지고 있는 추문은 안타까움을 넘어 충격을 주고 있다. 충남 도백(道伯)에 이어 부산시장, 서울시장에 이르는 연속된 지도자들의 성추문은 이 사회의 이면에 있는 도덕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어서 더욱 그렇다.


이 땅의 지도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그림자에게 한번 물어볼 일이다. ‘꺼림직한 것 하나 없는 스스로 만족한 상태’인가?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