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농업기술원(이하 경농원)은 최근 도내 박과작물 재배지에 황화 바이러스병이 확산되면서 농가에 진딧물과 담배가루이 등 매개충에 대한 초기 방제를 강력히 당부했다.
7일 경농원에 따르면 멜론, 수박, 오이 등 주요 박과작물 재배지 9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발병률 조사 결과, 최근 3년간 평균 발병률은 78%에 달했다.
실제 통계를 보면 지난 ▲2022년 78% ▲2023년 80% ▲2024년 78%로 고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평택 멜론 재배지에서 처음 확인된 박과퇴록황화바이러스는 올해 용인, 양평 등 수박 재배지까지 퍼지면서 확산세가 가시화되고 있다.
경농원은 황화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물은 잎이 황화되고 성장 부진으로 과실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데다 치료약이 없고 초기에는 생리장해로 오인되기 쉬워 방제를 놓치기 쉽다고 설명했다.
이에 경농원은 ▲수확 후 작물 잔재물 및 잡초 제거 ▲출입문·측면 창 방충망 설치 ▲끈끈이트랩 활용 등을 권장하고 있다.
이밖에도 매개충 밀도가 높아지는 8~9월에는 계통을 달리한 약제를 3~7일 간격으로 2~3회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중수 경농원 환경농업연구과장은 “황화 바이러스병은 초기부터 매개충 방제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심 증상이 보이거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경우 도가 운영하는 사이버식물병원에 의뢰해 정확한 진단과 관리 방법을 확인하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김우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