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대 지자체인 수원시와 인접 지역인 화성·오산시 등 3개 시를 중심으로 행정 구역 통합 논의가 본격화됐지만 이들 지역의 속내가 달라 벌써 부터 험로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지방 의회로는 전국 최초로 수원시의회가 화성.오산.수원의 통합 건의안을 의결했지만, 행정 구역 통합의 열쇠를 쥔 이들 단체장과 시의회의 의견이 달라 실제 통합으로 이어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원시의회는 10일 오전 제265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열고 염상훈 의원을 비롯한 총무개발위원회 소속 의원 7명이 공동 발의한 ‘화성.오산·수원시 행정구역 통합 건의안’을 표결 없이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건의서에 따르면 화성.오산.수원시는 전국 어느지역보다 역사.문화.지리.정서적으로 매우 밀접한 생활 문화권을 갖고 있으며 한 뿌리로 이어져온 도시이다. 3도시가 통합하면 경제적 시너지 효과를 높여 더욱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는 통합 배경을 설명했다.
시의회는 다음 주쯤 화성.오산시의회 의장단과 만나 이해와 협조를 구한 뒤 늦어도 이달 말까지 행정안전부에 건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반면 화성시와 오산시는 통합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오산시는 지난 4일 시정만족도 조사 용역을 발주해 통합 찬.반을 묻는 주민 설문 조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화성시의 경우 개발 잠재력 등 자생 능력이 있다고 판단해 통합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시의회 일부에서는 통합시 명칭과 소재지 등에서 기득권을 준다는 조건으로 찬성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날도 수원시의회 본회의에 앞서 이태섭 화성시의회 의장이 홍기헌 수원시의회 의장에게 전화를 걸어 통합 건의서 제출에 따른 상반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3개 시가 통합 된다면 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인근 부지로 3개 시를 관할하는 관청을 설립하는 방안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염상훈 수원시의회 총무개발위원장은 “급격한 행정변화에 대처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합이 불가피하다”며 “지속적인 의장단 회의를 통해 원만한 협의 결과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원.화성.오산시가 통합할 경우 면적 852㎢, 인구 175만명, 예산 3조3천억원, 공무원 4천388명의 거대 도시가 탄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