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일 수원평화비(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가 발족했다. 여성계와 시민사회계, 종교계 등 수원지역 200여 단체와 뜻있는 많은 시민들이 함께 했다. 이날 생존해 계시는 김복동 할머니와 길원옥 할머니는 진정한 일본의 사죄가 있어야 하고, 이 땅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는 절규로 시민들의 가슴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했다.
피해 생존자는 단 55명뿐
일본군위안부가 사회문제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에 들어와서다. 일부 학계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그 내용이 사회에 알려지면서 민간에서 먼저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990년 11월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발족했다. 이듬해에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공동생활공간인 ‘나눔의 집’이 세워졌다.
1991년 9월 정부는 ‘정신대 실태조사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일본에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구하였다. 또한 일본의 범죄를 입증할 자료를 찾는 데도 노력해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서 일본군이 위안부 모집, 수송, 관리 등에 개입한 사실을 입증하는 문서를 찾아냈다.
정부는 이후 정신대문제 실무대책반을 설치하고 시·군·구청에 피해자 신고센터를 설치해 신고를 받는 한편 피해자들에 대한 생활지원에 나섰다. 2014년 1월 현재 등록된 237명의 피해자 중 생존자는 국내 50명, 국외 5명, 총 55명이다. 경기도 내에는 12명이 거주하고 수원에도 1명이 생존해 계신다.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88세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로 관심을 끌고 있다. 일본, 한국,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 6개국 시민단체들이 연대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들의 지속적인 문제제기로 1992년부터 UN 인권위원회에서도 논의가 시작되었다. UN은 1996년 ‘전쟁 중 군대 성노예 문제에 관한 조선민주주의공화국, 대한민국, 일본에서의 조사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위안소 설치가 국제법 위반이라고 밝히고, 일본 정부가 법적 책임을 지고 진상규명, 공식사죄, 책임자 처벌 등에 나설 것을 권고했다. 또한 피해자가 고령이므로 이른 시일 내에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강조했다.
수원여성회에서도 2000년 정신대문제를 생각하는 모임이 시작되었고, 이듬해 ‘일본군성노예전범 국제법정 보고대회’에 참석했다. 이후 일본 내 평화운동 단체와 교류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갈수록 심화되는 일본 아베 정부의 우경화와 군국주의 부활은 여성인권과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수위를 갈수록 높이고 있다. 피해 여성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 국제 사회가 한 목소리로 일본 정부의 범죄 사실 인정과 진상규명, 정당한 배상과 사죄를 촉구하고 있으나, 일본 정부는 계속 거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 피해자 보상 문제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1965년 한일협정으로 이미 끝났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1998년 4월 시모노세키지방법원에서 일본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재판결과가 나오기도 했으나 일본 대법원에서 이를 기각함으로써 무효가 되고 말았다.
시민 힘 모아 평화비 건립
2011년 12월 수요시위가 1천회를 맞아 현 세대와 후세에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뜻을 잊지 않도록 하자며 일본대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졌다. 이후 미국 글렌데일시와 거제시 등 곳곳에서 평화비가 세워지면서 평화바람이 불고 있다. 평화비 건립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명예와 인권회복뿐 아니라 다시는 이러한 반인권적, 반인륜적, 반역사적인 만행이 이 땅에서 되풀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있다.
수원에도 시민들의 힘을 모아 수원평화비(평화의 소녀상)를 건립한다. 여성인권과 평화가치를 실현해 나가기 위함이다. 힘찬 평화바람이 불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