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로 경기도교육청이 비상근무에 돌입한지 보름을 맞으면서 일상 업무에서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30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정책기획관실, 감사관실, 대변인실, 복지법무담당관실 등 직원 85명을 세월호 사고 수습에 투입했다.
사고 직후 일주일 동안 평균 150여명을 투입했던 것보다 인원은 줄었지만 사고 수습 장기화로 추가 인력 투입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결국 학기 중 진행하던 각급학교 지원 행정과 감사 처리, 민원 업무 등 각종 일상 업무에 부하가 걸리거나 지연되고 있다.
수학여행 업무를 담당하는 도교육청 북부청사와 단원고가 위치한 안산교육지원청의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전 직원이 201명인 북부청사는 ⅓에 가까운 64명, 안산교육지원청을 전직원의 절반에 가까운 35명이 사고대책본부와는 별도로 세월호 관련 업무지원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원지역 한 학부모는 도교육청 대표 전화번호로 자녀의 교육관련 문의를 했다가 “실무자가 세월호 참사로 외부 출장을 나가 즉각적인 답변이 어렵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지역 한 학부모는 “지금은 세월호 참사 때문에 많은 직원이 밖으로 나가 있다. 다른 곳으로 문의 바란다”는 말을 듣고 전화를 끊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전면 취소된 각종 교내 행사에 대해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하자 도교육청 인터넷 홈페이지에 항의 글을 게시하기도 했다.
이날도 도교육청 감사관실에서는 10여명이 사고 수습에 지원을 나간 상태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금 다른 업무에 신경을 쓸 여력이 부족하지만 남은 인원을 최대한 활용해 업무 지연이나 누락이 없도록 온 힘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