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교문위, 도교육청 국감
경기도내 2천285개 초중고교가 9~10월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 일괄교체 기간에 두달 가량 공백이 생기면서 보안 약화와 시스템 충돌 등 업무 지장을 겪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6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윤관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교육청과 일선학교는 지난달부터 백신 프로그램 교체와 안정화 작업 중이지만 기존 백신 계약만료와 새 시스템 정착 사이에 약 2개월 가까이 공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지난 2011년 9월부터 사용했던 V3 계약이 지난 8월 만료되면서 입찰을 통해 지난 8월 20일 백신업체인 하우리와 보안프로그램 ‘바이로봇’을 3년간 쓰기로 계약했다.
백신은 계약 후 20일 이내 소프트웨어 납품을 완료하고 60일 이내 백신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돼 있어 새 보안프로그램이 완벽히 보급되기 위해서는 이달 말까지 최소 두달이 걸린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기존 V3를 교체기간에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필수 업데이트와 같은 서비스를 받지 못해 새로 등장하는 악성코드나 해킹에 노출될 위험이 높아져 자칫 보안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학교현장에서는 업무상 지장도 초래했다. 도내 한 중학교 A 교사는 “새 시스템이 문제가 없도록 잘 갖춰서 내려보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며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일부 기능이나 한글 프로그램(워드프로세서)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윤관석 의원은 “각 교육청별로 보안시스템 교체시기에 특히 보안 리스크가 높아진다”며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고 등은 기업뿐 아니라 교육기관에서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학생과 학부모 개인 신상에 대한 필요 이상의 과도한 정보 수집을 관행적으로 당연시해 온 점도 정보인권 침해 우려가 상당한만큼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많은 컴퓨터의 보안시스템 교체로 어려움이 있다”면서 “백신CD의 빠른 보급 등 안정화에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엔 백신소프트웨어 구축을 조기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