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9일 경선 룰을 담당할 당헌당규위원회의 구성을 마침에 따라 경선 룰을 논의하기 위한 공식 테이블이 가동되면서 ‘룰의 전쟁’이 시작됐다.
추미애 대표가 전날 설 연휴 전에는 예비후보 등록을 끝내고 경선 룰을 조속히 마련하기로 한 가운데 당헌당규위가 조만간 대선주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기로 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조만간 당헌당규위 회의를 시작하고 예상 쟁점 등에 대해 대선후보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추 대표도 조만간 개별적으로 대선후보들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대선주자들 사이에 저마다 유리한 경선 룰을 만들기 위한 신경전이 불붙을 수 밖에 없어 보인다.
특히 국민참여경선 비율과 모바일 투표, 결선투표제 도입 여부를 놓고 대선후보 간 줄다리기가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 전 대표 측은 많은 국민이 참여하는 게 좋다는 원칙을 정했을 뿐 세부적인 경선 룰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경선 이후 당의 후보들이 단합해 본선을 치러야하는 만큼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갈등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후발주자들이 주장하는 결선투표제에 대해서는 조기대선이라는 현실을 고려해 당이 결정해야 한다는 미묘한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2012년 대선 경선에서 문 전 대표 승리의 원동력인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도 ‘민감성’을 감안해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문 전 대표를 추격하고 있는 이재명 성남시장은 2012년 대선 경선 룰의 틀 안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결국 결선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장 측 대변인인 제윤경 의원은 “조기대선이고 여러 변수가 있지만, 이를 고려한 지도부의 입장을 존중할 것”이라며 “너무 폐쇄적이지 않는다면 충분히 지도부를 신뢰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측은 구체적인 경선 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박 시장 측의 박홍근 의원은 “모바일 투표 등에 대해 한 번도 공식으로 언급한 적도 없고 검토한 적도 없다”면서 “당이 어떤 취지에서 어떤 일정을 잡았는지, 다른 후보들은 이에 동의하는지 등을 들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당에 ‘백지위임’하겠다는 입장이다.
안 지사 측 대변인인 박수현 전 의원은 “우리는 경선 후보 등록을 조기에 받아달라는 것과 폭넓고 깊은 검증 토론회의 기회를 마련해달라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김부겸 의원은 완전국민경선제와 결선투표를 요구하고 있다.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는 민심과 당심이 왜곡되지 않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토론회 등을 통해 다양한 검증 기회가 있어야 한다”면서 “지역 순회 경선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