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하루 세 끼를 먹게 된 것은 근세에 들어서다. 그 이전에는 아침, 저녁 두 끼가 관례였다. 문헌에 점심이 처음 나온 것은 1406년 태종 실록이다. 심한 가뭄이 계속되자 태종은 각 관아에서 먹던 점심을 폐하라고 지시했다는 내용이 그것이다. 당시 중앙관서에서는 간단한 간식과 차를 마시는 다시(茶時·지금의 티타임과 유사)를 즐겼는데 이를 점심으로 표현한 것이다.

조선 정조 때 실학자 이덕무는 자신의 저서 양엽기(鴦葉記)에서 백성은 아침저녁 한 끼 5홉씩 하루 한 되를 먹는다고 했다. 또 병조참판 정의양은 임금에게 양식을 비축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리면서 비축 군량미의 양을 조석 2식(朝夕二食)을 기준으로 잡고 있다. 이 같은 기록으로 보아 조선시대엔 하루 두 끼 먹었던 것이 확실하다.

일일이식(一日二食)을 했던 중국에서도 점심은 아침과 저녁 사이에 드는 간단한 식사를 일컫는 말이었다. 한끼를 마음에 점을 찍고 넘겼다는 뜻과 식사 중 다음 요리를 기다리는 동안에 먹는 간단한 음식이란 뜻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불가에서도 점심이란 단어를 쓴다. 선승들이 수도를 하다가 시장기가 돌 때 마음에 점을 찍듯 간식 삼아 먹는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동양뿐만이 아니다. 서양도 특별히 점심을 챙겨 먹지는 않았다. 영국과 미국에서 점심을 ‘런치’라 부르는 것도 낮 12시부터 아무 때나 간단히 먹는 음식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메뉴 구성도 수프, 앙트레, 디저트, 커피 등 간단하다. 성경엔 점심을 헬라어로 무제한 부정기라는 뜻의 ‘아리스톤’으로 쓰고 있다. 이 또한 정해진 시간 없이 아침에 일어나서 정오 이전 적당한 시간에 가볍게 먹는 식사를 말한다.

지금도 일부에선 크게 다르지 않다. 10년 전부터 아침과 점심 사이에 이른 점심을 먹는다는 뜻의 브런치가 유행하더니 요즘은 점심 겸 저녁을 한 번에 해결하는 ‘딘치’(디너와 런치의 합성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늦게 먹으면 살이 찐다고 해서 특히 여성들 사이에 인기가 높다. TV마다 ‘먹방’이 넘쳐나는 요즘이지만 건강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지키려는 의지를 꺾기엔 역부족인가 보다.

/정준성 주필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