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남북경협 인식조사
중소기업협동조합 절반 이상이 남북 경제 협력에 참여할 의사가 있고 개성과 평양 등 서해 경제벨트로 진출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4일 발표한 ‘중소기업협동조합의 남북경제협력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협동조합 214개를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56.5%(121개)가 남북경협에 참여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응답한 기업들이 진출하고 싶은 지역으로는 개성과 평양, 신의주를 비롯한 북한의 ‘서해경제벨트’를 선호했으며, 특히 개성(48.1%)과 평양(27.6%)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남북경협 방식으로는 ▲북한 내 근로자 활용(39.3%) ▲북한 인력을 활용한 위탁가공무역 협력(28%) ▲제3국에서 북한 인력활용(6.1%) 등 북한 인력을 활용하는 방식의 선호도가 73.4%(150개)에 달했다.
남북경협이 필요한 분야로는 ▲제조업(29.9%) ▲건설업(19%) ▲농어임업(12.8%) ▲광업(11.1%) 등으로 나타났고, 그 실현 가능성으로는 ▲제조업(29.2%) ▲건설업(20.7%) ▲농어임업(12.2%) ▲광업(10.7%) 등으로 파악됐다.
남북경협에 참가할 경우 예상되는 리스크로는 응답 기업 중 67.8%(145개)가 ‘불안정한 정치 상황’을 꼽았고, 그 해소하는 방안으로는 18.7%(40개)가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상호 신뢰회복’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를 위해 남북경협 참여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민간기구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57.9%(124개)에 달했다.
경만 중기중앙회 통상산업본부장은 “중소기업계의 남북경협 참가 의지는 높은 편이지만 정치적 리스크가 부담되는 것도 사실” 이라며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상호신뢰 회복 등 제3차 남북정상회담 후속조치들이 차질 없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중기중앙회는 제3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등 남북현안에 대해 중소기업계와 정보를 공유코자 ‘남북정상회담과 중소기업 남북경협 토론회’를 오는 1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