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주식 허위신고 신세계·카카오·셀트리온 회장 약식기소

차명주식을 보유하는 등 당국에 지분 현황을 허위 시고한 대기업 회장 등 업체 대표 4명 등이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구상엽 부장검사)는 21일 이명희 신세계 회장, 김범수 카카오 의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정창선 중흥건설 회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각각 벌금 1억원에 약식기소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공정거래위원회에 차명주식 실소유자를 허위 신고한 혐의, 김 의장과 서 회장은 2016년 계열사 5개를 신고에서 누락한 혐의, 정 회장은 2015년 계열사 3개를 누락한 혐의를 받는다.

또한 신세계 계열사 3곳, 롯데 계열사 9곳, 한라 계열사 1곳도 대주주의 차명주식과 계열사 현황, 채무보증 현황 등을 험위 신고한 혐의로 같은 액수로 각각 약식기소됐다.

LG와 효성 대주주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다수의 계열사 신고를 빠뜨렸으나 공소시효가 지났다고 검찰은 설명했다.

또 SK도 대주주가 5번에 걸쳐 경고처분만 받는 등 의심쩍은 정황이 포착됐으나 역시 시효가 만료됐다.

검찰은 “형사소송법상 고발 의무가 있는 공정위 공무원이 범죄를 인지하고 증거를 확보했음에도 경고와 벌점부과만 하고 사건을 끝낸 것”이라며 “기존에 공정위가 고발한 일부 사건보다 더 무거운 위반 행위에 반복적으로 경고처분만 하고 고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소를 피한 부당종결 사례 100여 건 중에는 20대 기업 상당수가 포함돼 있으나 공소시효 등으로 처벌할 수 없는 상태다.

/박건기자 90virus@






배너


COVER STORY